"인플레이션 잡을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美 3번째 '자이언트스텝'
▷ 제롬 파월 의장, "기준금리 0.75% 인상"
▷ 美, 인플레이션 잡을 때까지 금리 인상 멈추지 않을듯
▷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

코로나1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여러가지 요인이 맞물려 경제가 출렁이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경제의 축으로 평가받는 미국도 예외가 아닌데요.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96.17로, 지난 8월보다는 다소 감소했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상승률이 높습니다.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자,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가 ‘울트라스텝’(기준금리 1.0% 인상)을 감행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파다했는데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울트라스텝’ 이전 수준인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 인상)을 감행한다고 지난 21일(현지시각) 밝혔습니다.
이로써 올해에만 ‘자이언트스텝’만 3번 연속
이뤄지면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21일에 열린 FOMC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까지 낮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물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물가 안정 없이 경제는 그 누구에게도 효과가 없다”며, “오늘 FOMC는 정책 금리를 3/4 포인트 인상했고, 지속적인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자이언트스텝 이후로도 언제든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발언인데요.
파월 의장은 먼저 미국의 경제 상황을 짚었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코로나19 침체를 겪은 이후 재개된 미국 경제는 2021년의 높은 성장률에서 점차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지출과 생산은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으나, 지난해부터 빠른 속도로 이어져온 낮은 가처분 소득과 긴축 재정 상황은 소비자 지출의 성장을 막고 있다고 부연했는데요.
이런 여러 지표들을 바탕으로 FOMC는 지난 6월부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해왔습니다.
미국 노동시장에 대해서 파월은 복합적인 평가를 남겼습니다.
그는 “거의 50년 만에 최저치에 가까운 실업률, 많은 일자리, 최고 임금이 오르고 있다”며, “노동시장이 계속해서 균형을 잃고 있다.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훨씬 초과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FOMC는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날이 갈수록 균형을 이룰 것이고, 임금과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될 것”이라는 말을 덧붙였습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상황에 대한 여전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우리의 장기 목표인 2% 수준을 훨씬 상회한다”며, “변동성이 큰 식품 및 에너지 카테고리를 제외하고 핵심 PCE(개인소비지출) 4.6% 상승했다”고 언급했는데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에너지와 음식 물가 상승에 크게 기여했다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曰 “상품과 서비스,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서 가격 압력은 여전히 뚜렷하다” (“Price
pressures remain evident across a broad range of goods and services”)
파월 의장은 “현재의 고물가 상황이 길어질수록 더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이 확고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더욱 큰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는 말인데요.
때문에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목표 대인 2%로 되돌리기 위해 최대한 헌신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曰 "이번 금리 인상으로 우리는 올해 금리를 3%
인상했다" ("With today’s action, we have raised interest
rates by 3 percentage points this year")
파월 의장은 물가 안정의 중요성과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계속해서 견지했습니다.
그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선 현 긴축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용을 극대화하고 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선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는 게 필수적이다”고 전했는데요.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때까지) 금리 인상을 멈추지 않을 것”("We will keep at it until we are confident the job is done")이라며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미국의 연이은 금리 인상으로 기준 금리는 2.25~2.50%에서 3.00~3.25%로 뛰었습니다.
현 한국의 기준금리가 2.5%라는 점을 감안해보면, 한미금리가 한 달 만에 역전된 셈인데요. 이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은 순식간에 1,400원을 돌파했습니다.
22일 한국 증권시장이 열리자마자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넘어 최고 1,413원까지 올랐는데요.
정부는 원화가치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통화 스와프(고정 환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미 대통령이 한미 통화스와프 문제를 집중 검토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