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 ‘2024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 찾아 AI 기술 선보여
▷13일부터 15일까지, 광주서 ‘2024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 개최
▷한컴,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위한 다양한 AI 기술 소개
(사진=한글과컴퓨터)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행정안전부와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주최하는 ‘2024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에서 한컴만의 AI 제품을 선보인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진행되며,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내일을
위한 정부혁신, 함께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주제로 열린다.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총 131개 기관이 참여해 ‘편리한 서비스, 똑똑한 정부, 안전한
사회’를 키워드로 120여 개의 혁신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한컴은 이번 행사에서 AI 기반 지능형 문서 작성 도구인 ‘한컴어시스턴트’를 핵심 제품으로 내세운다.
한컴어시스턴트는 AI 기술을 적용한 문서 초안 작성과 요약, 내용 탐색 등이 가능해 문서 작업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형 언어 모델(LLM)은 물론 보안이 중요한 폐쇄망환경의 고객을
위한 소형 언어 모델(sLLM)도 갖췄다.
특히,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한 다양한 생산성 도구와의 연동으로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한컴은 방대한 문서 데이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찾아내는
문서 기반 질의응답 솔루션 ‘한컴피디아’도 공개한다.
한컴피디아는 자체 개발한 데이터 추출 기술인 ‘한컴 데이터 로더’로 문서 내 텍스트와 이미지 정보를 효과적으로 데이터화하며,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로 출처가 분명한 신뢰성 높은 답변을 산출한다.
특히 구어체 질문에도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해 체계적으로 정리된 답변을 텍스트와 표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30년 이상 축적된 오피스 문서 저작 기술을 집약한 ‘한컴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도
공개된다.
한컴 SDK는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핵심 기능을 모듈화해 기업과 기관이
자체 시스템에 유연하게 도입할 수 있게 했다.
한컴은 박람회 기간 동안 현장 체험관을 마련해 관람객들의 직접 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AI 제품 이름 맞추기 퀴즈 참여자 전원에서 한컴 큐브, 제품 시연
및 상담 고객에게는 충전 마우스패드 등 상품을 증정하는 특별 이벤트도 진행한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