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다트] CGV, 활력 되찾을까... 동남아 시장 성장세
▷ 전사관람객 감소에도 불구, 매출 전년동기대비 34.9% 증가
▷ 국내에선 부진했으나 동남아 시장에서 성장세
▷ <글래디에이터2> 등 '하반기' 기대작이 실적 좌우할 듯
![[증시다트] CGV, 활력 되찾을까... 동남아 시장 성장세](/upload/0e51d8d9449541f29ba554b9ad9e9356.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범람하는 OTT 시대에 어려움을 겪던 CJ CGV에 희망이 찾아온 듯하다. CJ CGV의 2024년 3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전사관람객이 전년 같은 분기 대비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J CGV를 찾은 관람객은 3분기 기준 3,439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 2023년 3분기 3,678만 명보다 240만 명이 줄어들었다. 반대로 3분기 매출은 같은 기간 34.9% 증가한 5,470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역시 7억 원 늘어난 321억 원으로 나타났다.
CJ 설명에 따르면, 성장의 주된 원인은 '동남아 시장 공략', '수익사업 강화', 'ONS 편입 효과'이다.
우선, 베트남에서 CJ CGV는 로컬/애니메이션 콘텐츠 흥행에 성공했다. CJ CGV의 올해 3분기 베트남 매출은 472억 원, 영업이익은 32억 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대비 각각 108억 원, 30억 원 늘었다. <슈퍼배드4?, <명탐정 코난>,
인도네이사에서의 실적도 유사하다. CJ CGV는 올해 3분기 동안 인도에시나에서 239억 원의 매출, 26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모두 상승세다.
CJ CGV는 ScreenX 중심의 기술특별관 콘텐츠가 많은 인기를 얻었다고 전했다. <임영웅:아임히어로 더 스타디움>, <인사이드아웃2>의 흥행 및 ScreenX 스크린 49개 증가 등에 힘입어 기술특별관의 3분기 매출은 402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60.8% 증가한 규모다. 다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억 원 줄어든 51억 원을 기록했다. ScreenX에 필요한 CG제작 기술을 내재화하고, Next CGV 와 같은 신사업 추진 등에 비용이 소모되었기 때문이다.
CGV의 좋은 실적엔 ONS, 올리브네트웍스가 많은 역할을 했다. 올리브네트웍스는 2024년 6월 중 연결편입된 IT 기업이다. 지난해 기준 매출액 6,765억 원, 영업이익은 510억 원을 거둔 바 있다.
올리브네트웍스의 올해 3분기 실적은 1,830억 원, 영업이익은 164억 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각각 91억 원, 36억 원 증가했다. 경북 메타버스 디지털 미디어 혁신허브 구축, 하이트진로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 대외사업의 수주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건 아니다. CJ CGV의 국내 실적은 비교적 좋지 않다. CJ CGV의 올해 3분기 국내 매출은 2,093억 원, 전년 같은 분기 대비 0.9%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131억 원에서 88억 원에서 대폭 줄어들었다. 이자비용과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등을 차감한 이익 EBITDA의 경우 355억 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 대비 122억 원 감소했다.
CJ CGV는 올해 4분기를 긍정적으로 내다보았다. <모아나2>, <무파사:라이온킹>, <글래디에이터2> 등 헐리웃 기대작이 개봉을 앞두고 있고, 국내회복, 동남아 성장세 지속 등 매출이 늘어날 것이란 설명이다. 아울러, 컨세션, 광고 등 수익사업 강화로 영업이익 성장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증권가의 전망도 비슷하다. 김회재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CJ CGV의 주된 경쟁자로 손꼽히는 넷플릭스에선 영화 작품을 기대할 수 없다며, "극장 개봉작이 넷플릭스에 공개되는 경우에는 이미 극장에서 충분히 관객을 끌어모은 후 보통 홀드백 45일 정도 후에 공개한다. 볼만한 영화는 극장에거서 관람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인당 연평균 관람 횟수는 19년 기준 4회, 23년 기준 2회로 부담없는 수준"이라며, "결국 볼거리가 있느냐의 여부가 중요, 넷플릭스와의 경쟁이나 티켓 가격은 부수적"이라고 덧붙였다.
김 애널리스트는 티켓가격에 대한 논쟁도, 콘텐츠에 대한 인기로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객들이 볼만한 영화가 많을수록, 티켓에 대한 부담도 어느 정도 낮춰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