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증시다트] CGV, 활력 되찾을까... 동남아 시장 성장세

▷ 전사관람객 감소에도 불구, 매출 전년동기대비 34.9% 증가
▷ 국내에선 부진했으나 동남아 시장에서 성장세
▷ <글래디에이터2> 등 '하반기' 기대작이 실적 좌우할 듯

입력 : 2024.11.10 11:02 수정 : 2024.11.10 11:03
[증시다트] CGV, 활력 되찾을까... 동남아 시장 성장세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범람하는 OTT 시대에 어려움을 겪던 CJ CGV에 희망이 찾아온 듯하다. CJ CGV의 2024년 3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전사관람객이 전년 같은 분기 대비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J CGV를 찾은 관람객은 3분기 기준 3,439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 2023년 3분기 3,678만 명보다 240만 명이 줄어들었다. 반대로 3분기 매출은 같은 기간 34.9% 증가한 5,470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역시 7억 원 늘어난 321억 원으로 나타났다.

 

CJ 설명에 따르면, 성장의 주된 원인은 '동남아 시장 공략', '수익사업 강화', 'ONS 편입 효과'이다. 

 

우선, 베트남에서 CJ CGV는 로컬/애니메이션 콘텐츠 흥행에 성공했다. CJ CGV의 올해 3분기 베트남 매출은 472억 원, 영업이익은 32억 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대비 각각 108억 원, 30억 원 늘었다. <슈퍼배드4?, <명탐정 코난>, 등이 흥행하면서 관람객이 35.1% 증가했고, 극장사업의 수익이 확대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인도네이사에서의 실적도 유사하다. CJ CGV는 올해 3분기 동안 인도에시나에서 239억 원의 매출, 26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모두 상승세다. , 등 로컬콘텐츠가 인도네시아에서 흥행했기 때문이다.

 

CJ CGV는 ScreenX 중심의 기술특별관 콘텐츠가 많은 인기를 얻었다고 전했다. <임영웅:아임히어로 더 스타디움>, <인사이드아웃2>의 흥행 및 ScreenX 스크린 49개 증가 등에 힘입어 기술특별관의 3분기 매출은 402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60.8% 증가한 규모다. 다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억 원 줄어든 51억 원을 기록했다. ScreenX에 필요한 CG제작 기술을 내재화하고, Next CGV 와 같은 신사업 추진 등에 비용이 소모되었기 때문이다.

 

CGV의 좋은 실적엔 ONS, 올리브네트웍스가 많은 역할을 했다. 올리브네트웍스는 2024년 6월 중 연결편입된 IT 기업이다. 지난해 기준 매출액 6,765억 원, 영업이익은 510억 원을 거둔 바 있다.

 

올리브네트웍스의 올해 3분기 실적은 1,830억 원, 영업이익은 164억 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각각 91억 원, 36억 원 증가했다. 경북 메타버스 디지털 미디어 혁신허브 구축, 하이트진로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 대외사업의 수주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건 아니다. CJ CGV의 국내 실적은 비교적 좋지 않다. CJ CGV의 올해 3분기 국내 매출은 2,093억 원, 전년 같은 분기 대비 0.9%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131억 원에서 88억 원에서 대폭 줄어들었다. 이자비용과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등을 차감한 이익 EBITDA의 경우 355억 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 대비 122억 원 감소했다.

 

CJ CGV는 올해 4분기를 긍정적으로 내다보았다. <모아나2>, <무파사:라이온킹>, <글래디에이터2> 등 헐리웃 기대작이 개봉을 앞두고 있고, 국내회복, 동남아 성장세 지속 등 매출이 늘어날 것이란 설명이다. 아울러, 컨세션, 광고 등 수익사업 강화로 영업이익 성장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증권가의 전망도 비슷하다. 김회재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CJ CGV의 주된 경쟁자로 손꼽히는 넷플릭스에선 영화 작품을 기대할 수 없다며, "극장 개봉작이 넷플릭스에 공개되는 경우에는 이미 극장에서 충분히 관객을 끌어모은 후 보통 홀드백 45일 정도 후에 공개한다. 볼만한 영화는 극장에거서 관람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인당 연평균 관람 횟수는 19년 기준 4회, 23년 기준 2회로 부담없는 수준"이라며, "결국 볼거리가 있느냐의 여부가 중요, 넷플릭스와의 경쟁이나 티켓 가격은 부수적"이라고 덧붙였다.

 

김 애널리스트는 티켓가격에 대한 논쟁도, 콘텐츠에 대한 인기로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객들이 볼만한 영화가 많을수록, 티켓에 대한 부담도 어느 정도 낮춰줄 수 있다는 이야기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

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

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

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

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

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

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