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은행권 대출태도, 가계 중심으로 강화 전망"
▷ 금융당국, "개별은행 상황에 맞게 가계부채 관리에 만전"
▷ 한국은행, "가계에 대한 대출태도는 강화, 중소기업은 다소 완화"
▷ 중소기업과 가계의 신용위험 여전히 높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국은행은 3년 2개월 만에 통화정책 기조를 전환했다. 기준금리를 3.50%에서 3.25%로 인하한 이유로서 '물가상승률의 뚜렷한 안정', '소비의 점진적 개선', '수출 호조세' 등을 제시했다.
그 중에서도 '정부의 거시건전성정책 강화'가 눈에 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경제의 오랜 약점으로서 지난 8월에 급격하게 늘어난 바 있다.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금융권 가계대출도 10조 원 가까이 증가했다.
이를 잡기 위해 정부가 2단계 스트레스 DSR제도를 도입하는 등 대출을 옥죄기 시작하자, 한국은행은 "주택 시장 및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하는 모습"이라며, "향후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월별 변동성은 있겠지만 주택거래 감소 등을 감안하면 당분간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당국은 향후에도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누르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11일에는 5대 시중은행 등 금융권을 불러모아 철저한 가계부채 관리를 요청한 바 있다.
당시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금융권이 연초 수립한 자체 가계대출 경영목표를 준수하기로 한 만큼, 개별은행 상황에 맞는 세심한 여신심사 기준을 통해 남은 3개월 동안 가계부채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러한 금융당국의 태도가 은행권에 반영될 듯하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중 가계에 대한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은행의 차주별 대출태도지수를 살펴보면, 한국은행은 정부의 정책 기조로 인해 가계주택에 대한 대출태도(-28p)가 가장 강력하게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대기업의 경우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관리 차원에서 대출태도 강화를 예상했다. 반면, 중소기업의 대출태도에 대해선 금융당국의 정책지원 등으로 인해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4분기 중 대출수요는 중소기업 및 가계를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소기업은 운전자금 및 유동성 확보, 가계는 생활용도자금 등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이란 예측이다.
문제는 신용위험이다. 한국은행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업황부진이 계속되고 있어 신용위험이 높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내다보았다. 국내은행의 차주별 신용위험지수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25p로 신용위험이 가장 높다. 가계의 경우, 소득여건 개선세가 지연되면서 신용위험에 대한 경계감은 계속될 것이란 설명이다.
한편,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태도도 은행권과 유사하다. 2024년 4분기 중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태도는 신용카드회사의 경우 중립, 그외 업권에서는 강화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다. 대출 연체율이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