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공기업 ·공공기관 채용 문 넓힌다…규모는 축소 조짐
▷올 하반기 공기업·공공기관 채용률 증가…규모는 축소 조짐 보여
▷채용 방식 ‘정기 공채’ 줄고 ‘수시 채용’ 늘 듯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올해 하반기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지난해보다 채용 문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는 ‘2024년
하반기 공기업 및공공기관 채용 동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우선 조사에 응답한 100곳의 공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채용 계획을 묻는 질문에 ‘채용 확정이다(‘확실히
있다’, ‘계획이 있으나 세부 조율 중이다’ 포함)’는 응답이 65.0%로 전년 대비
14.5%p 증가했다.
2022년 하반기 82.0%에
달했던 채용 확정 답변은 2023년 50.5%로 급락했다고
올해 들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채용이 불투명하다’는
답변은 22.0%로 전년 대비 0.6%p 증가했으며, ‘채용 계획이 없다(13.0%)’는 지난해 대비 15.2%p 감소해 지난해보다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하반기 채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 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감소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공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채용 규모에 관해 물은 질문에 ‘한
자릿수’를 채용할 것이란 응답이 77.3%로 전년 대비 59.1%p 증가했다.
반면 ‘두 자릿수’는 22.7%로 지난해보다 59.1%p 줄었으며, ‘세 자릿수’ 채용은 지난해에 이어 0%로 나타났다.
채용 방식에서도 전년 대비 ‘정기 공채’는 줄고 ‘수시 채용’은
늘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 정기 공채를 계획하고 있다는 응답은 42.3%로 지난해
대비 35.3%p 감소했다.
이에 대해 인크루트는 “여전히 정기 공채의 비율이 높지만 감소 폭이
가파르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수시 채용(38.5%)은
전년 대비 19.1%p 증가해 정기 공채(42.3%)와 수시
채용(38.5%)의 비중 격차가 줄어들었다. 인턴의 경우 19.2%로 전년 대비 19.6%p 감소했다.
서미영 인크루트 대표는 “공기업과 공공기관은 하반기 채용에는 적극적이지만
채용 규모는 줄어들 가능성이 있고 수시 채용의 비중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가고 싶은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채용 일정을 수시로 확인하고 전략적인 취업 준비를 해야만 취업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