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씽크빅 유데미, AI국민자격증 14일 완성반 프로젝트 실시
▷강좌 VOD 평생소장, 특별시험 기회, 1회 응시권 등 혜택 제공
▷하반기 채용 지원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일정 구성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웅진씽크빅이 운영하는 글로벌 교육 플랫폼 ‘유데미(Udemy)’가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과 협업해 AI 활용능력시험(AICE)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강의 ‘AI 국민자격증 14일 완성반’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코딩 및 개발 경험이 없더라도 2주 안에 AICE에 합격할 수 있도록 ▲시험 대비 강좌 VOD 평생소장권 ▲4시간 라이브 강의 ▲AICE 특별 시험 기회 ▲1회 응시권 ▲재시험 할인권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또한 취득한 자격증을 하반기 채용 지원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전체 커리큘럼 및 테스트 일정을 구성했다. 수강자들은 9월 10일 예정된 족집게 라이브를 포함해 8월 29일부터 9월 12일까지 2주간 강의를 듣고, 마지막 날(12일) 온라인 채널을 통해 AICE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해당 테스트에서 불합격하더라도 10월 11일 특별 재시험을 볼 수 있다.
‘AI 국민자격증 14일 완성반’은 사람인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오는 8월 28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강의는 정가 대비 52% 할인된 가격에 제공된다.
김형석 웅진씽크빅 유데미사업단장은 “국내 유수 기업에서 채용 우대 혜택을 제공하는 AICE 자격증 취득을 A부터 Z까지 지원하는 종합 커리큘럼”이라며 “사람인과 협업해 진행하는 프로젝트인 만큼 특강 종료 후에도 다양한 취업 연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AICE는 누적 응시자 2만4,000명을 돌파한 국내 최초 AI 활용능력시험이다. 초중등 학습 단계부터, 성인 학습 단계까지 학습자 수준에 맞게 레벨이 설계되어 있다. 취업 준비 및 이직 준비생들을 위한 단계는 KT 그룹사 및 국내 유수 기업 등 인공지능(AI) 활용 능력을 주요 역량으로 보는 산업군에서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유데미(Udemy)는 2010년 5월 설립된 세계 최대 온라인 교육 오픈 플랫폼으로, ‘학습을 통해 삶을 개선한다’는 사명 아래 22만개 이상의 온라인 교육 강좌를 75개 언어로 제공하고 있다. 전 세계 수강생 수는 6,400만명에 달하며, 75,000명 이상의 강사가 활동 중이다. 특히 IT 개발, AI 관련 교육 콘텐츠에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2023년까지 업로드된 AI 강의 수는 1,000여개, ChatGPT 국내 커리큘럼 수강자는 220만명에 달한다. 2021년 3월 웅진씽크빅과 국내 사업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