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반려견 17.5%는 서울시에 산다…가장 많은 자치구는 강남구
▶서울디지털재단, ‘서울 펫 스마트라이프’ 보고서 30일 발표
▶서울시, 반려견 61만2000마리 등록…전국 350만 마리 중 17.5% 차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서울시에 등록된 반려견이 61만2000마리로 전국 350만 마리 중 17.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서울시 데이터기반행정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치구별 반려동물 현황을 분석한 ‘서울 펫 스마트라이프’ 보고서를
30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는 ▲자치구별 반려동물 분포현황 ▲반려동물
돌봄기술(펫테크) ▲서울시 반려동물 지원사업사례 등이 담겼습니다.
우선, 서울시에 등록된 반려견은 61만2000마리로 전국 350만 마리 중
17.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등록된 반려견 수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강남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도심권(종로구, 중구)에서 반려견을 적게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 ‘가구 수 대비 반려견 수’ 비율은 14.9%로 가구당 한 마리로 단순 가정하면 10가구 중 1가구 이상이 반려견을 양육하는 셈입니다.
서울시의 동물병원 수는 총 924개이며, 자치구별
동물병원 수는 등록된 반려견 수와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반려견 등록 수가 가장 많은 강남구가 85개로 동물병원 수가 가장
많았으며, 반려견 등록 수가 두번째로 적은 종로구 동물병원 수는 12개로
가장 적었습니다.
반려견의 품종별로 살펴보면, 말티즈(19.8%),
푸들(14.1%), 믹스견(13.3%), 포메라니안(9.4%), 시츄(5.8%) 순으로 많았습니다.
‘반려 동물 이름’ 데이터를
제공하는 4개 자치구(동대문, 마포, 양천, 송파) 기준으로 반려견 이름은 ‘코코(1.7%)’,
‘보리(1.3%)’, ‘초코(1.2%)’ 순으로
많았습니다.
아울러 반려동물 돌봄 기술(펫테크) 사례로
훈련용 도구, 건강관리 용품, 장난감 등을 소개했으며,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성숙한 돌봄문화 확산 정책, 복지
사업 등 사례도 함께 소개됐습니다.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은 “공공데이터는 서울시의 현 주소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근거자료”라며 “재단은
이번 보고서에 이어 앞으로도 시민이 쉽고 빠르게 서울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 결과를 시각화한 ‘데이터
이슈 보고서’를 지속 발간할 예정이다”라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