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내 OTT 기업들, "어려움 극복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해"

▷ 방송통신위원회, 국내 OTT 기업 4곳의 대표 만나
▷ 대표들, "국내 OTT 업계 재정적 어려움 극복하려면 정부 도움 필요"

입력 : 2024.05.28 17:07 수정 : 2024.05.28 17:08
국내 OTT 기업들, "어려움 극복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해"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8, 방송통신위원회는 국내에서 온라인동영상서비스(이하 ‘OTT’)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을 만났습니다.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왓챠의 대표들은 김홍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게 어려움을 토로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방통위가 국내산업 보호 및 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국내 OTT 업계가 재정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글로벌 OTT의 공세에 대응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주길 요청드린다고 밝혔는데요.

 

국내 OTT 4사 대표들 曰 방통위가 미디어 전반에 대한 규제체계 정비를 추진하는 경우 OTT에 대한 최소규제 최대진흥 원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 OTT 사업자의 해외진출 등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국내 OTT 사업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유는 위기론때문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영화·OTT산업 위기론과 투자에 따르면, 글로벌 OTT 산업은 수익성 강화에 집중하여 시장 성장세가 거듭되고 있는 반면, 국내 OTT 산업은 제작비 상승·경쟁 심화 등으로 투자 부담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글로벌 OTT 사업자들은 한국 콘텐츠에 6천억 원 ~ 8천억 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시아·세계 시장에서 유치한 가입자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국내 OTT 사업자들의 상황은 다릅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 드라마의 편당 제작비는 최대 30억을 상회합니다. 국내 영업에만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OTT 사업자들에게는 적잖은 부담입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글로벌 OTT 수준에 맞춰 한국 콘텐츠의 제작비는 상승세를 타고 있고, 그에 따라 국내 OTT 사업자들의 적자폭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매출액도 함께 증가하긴 했습니다만, 적자를 감당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게 시장의 분석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 曰 넷플릭스, 디즈니+와 같은 글로벌 OTT들과 경쟁해야 하는 국내 OTT들 입장에서는 국내 시장의 성장 한계 때문에 한국 콘텐츠 확보에 글로벌 OTT들만큼 투자를 하기가 어렵다.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부족한 국내 방송사나 OTT에서는 비교적 제작비가 낮은 시리즈만 취급이 가능해지고, 글로벌 OTT와 국내 OTT 사이의 콘텐츠 양극화도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이용자 수 자체도 글로벌 OTT에 비해 크게 밀리는 양상입니다. 2023 8월 기준, 국내 OTT 이용자 순위는 넷플릭스가 1,223만 명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쿠팡플레이(563만 명)과 티빙(540만 명)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만, 이들을 합산해도 넷플릭스의 이용자 수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2023 8월의 월간 사용 시간 기준으로 봐도, 넷플릭스(1억 시간)가 티빙(4,536만 시간), 웨이브(4,492만 시간), 쿠팡플레이(1,827만 시간)을 크게 상회합니다.


이와 관련, 김홍일 방통위원회 위원장은 국내 OTT 사업자들에게 적극적인 정부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디지털 시대 글로벌 미디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방통위는 국내 OTT의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 및 해외진출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으로 OTT 산업 활성화에 적극 노력하겠으며, 미디어 통합법제는 최소규제 원칙 하에 사업자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서 합리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이야기했는데요. 다만, 사업자들도 요금제 개편 등에 있어서 국민들이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 합리적인 요금제 가격을 주문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엄마아빠 말은 안들어도 시설의 교사말은 듣고 식사하기ᆢ산책ᆢ수영 옷쇼핑 모두 참여합니다 ㆍ 우리 부모들이 상복을 입는 이유 의미는 시설없어지면 다 죽는단 뜻이지 과장이 아닙니다 20년을 특수교육시켜서 돌봄은 가능한상태지만 자립까지 가능하다면 발달장애인이 아니죠 시설 대기자 부모님들의 참혹한 원망의 한숨소리 ᆢ자살한 그분들의 슬픈 한이 안보이시나요 ㅜ

2

거주시설의 종사자 분들을 뵐때면 정말 고개가 절로 숙여집니다. 활동지원사 와는 비교도 안되는 최중증장애인을 대하는 태도와 마인드 그리고 사명감! 우리 최중증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은 이웃과 또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 살아보려고 무던히도 애써왔지만 이웃이..사회가..거부했고 따가운 시선으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면 모든것을 우리 최중증발달장애인에게 덮어 씌우고 탓을하고 ..혀를 차며 벌레보듯 했고.. 결국 이웃이 사회가 나라가 더불어 살수 없게 해 놓고선.. 인간답게 더불어 살아야 한다며 자립을 하라고요? 지나가는 개가 웃습니다! 너무 잘나고 귀하신 국회의원님들.시의원님들 한번 우리와 똑 같이 살아보시죠! 시설을 더 확충해도 모자랄 판에 패쇄요? 같은말 반복하려니 정말이지 힘이 듭니다ㅠㅠ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진정한 삶을 누리며 사람답게 살수 있는 두번째 보금자리 입니다!!!

3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4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5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6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7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