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KAIA, 급변하는 모빌리티 생태계 대응 위해선…”산∙학∙연∙관 협력 중요”

▶KAIA, 제21회 자동차의 날 맞아 ‘자동차산업 미래 경쟁력 강화 방안’ 주제로 컨퍼런스 개최

입력 : 2024.05.09 13:57 수정 : 2024.05.09 14:05
KAIA, 급변하는 모빌리티 생태계 대응 위해선…”산∙학∙연∙관 협력 중요”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가 제21회 자동차의 날을 맞아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자동차산업 미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 위한 컨퍼런스를 JW메리어트호텔 강남 그랜드볼룸에서 9일 개최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회장을 비롯한 이희진 한국모빌리티학회 회장, 김효선 산업통상자원부 서기관,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상무, 정구민 국민대학교 교수 등 모빌리티분야 산∙학∙연∙관 전문가 20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최근 자동차산업은 환경과 기술 변화의 가속화로 전동차, SDV, 스마트화라는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에 직면하고 있다. 테슬라, BYD 등 새로운 기업들이 전기차 산업을 주도하고 있고, 배터리부터 AI, S/W(소프트웨어)까지 경쟁력을 확보한 중국의 부상으로 자동차 산업의 패권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학계, 민간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강 회장은 이어 업계에서도 SDV화에 대응하기 위해 SW인력을 보강하고, IT기업들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대응하고 있지만, 인력 확보를 위한 정부와 학계의 지원과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구민 국민대학교 교수‘SDV 확산에 따른 산업생태계 변화와 과제주제 발표에서 “SDV의 안정화는 자율주행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올 것이다라며 한국자동차산업은 SDV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관련 회사들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ICT-소프트웨어-자동차기술의 융합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내 완성차 업체가 자동차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조속한 자율주행 내재화와 인공지능(AI) 접목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상무는 자동차산업의 전동화와 AI를 중심으로 한 자율주행 등의 기술변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선진국이 먼저 시도한 패러다임 전환은 막강한 공급망과 생태계를 확보한 중국이 친환경차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한국자동차기업들은 잘 짜여진 포트폴리오를 균형적으로 운영하되, 연구개발에서는 절박한 심정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라며 특히 부족한 자율주행 분야에서 인공지능과의 접목을 서둘야 한다. 이를 위해선 인재유치나 테크 기업, 스타트업과의 협업, M&A 등 많은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