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나도 전기차, EV 시장 패권 누구 손에 들어갈까?
▶SDV 전환과 함께 글로벌 기업 간 EV 시대 패권 놓고 경쟁 치열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가전ㆍ전자 기기 업체도 EV 시장 합류 중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모빌리티 업계에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SDV) 전환의 바람이 불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간 미래 EV 시대의 패권을 놓고 각축전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최근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가전ㆍ전자 기기 업체들도 EV 시장에 뛰어들면서 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일본 IT전문 매체 '비지니스플러스 IT'는 "기존 내연기관 차량은 다양한 부품을 지닌 복합체였지만, EV의 출현과 함께 부품 수가 대폭 감소시키는 등 자동차 제조 공정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라며 "이후에는 완성차 업체에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기기를 판매해 온 가전ㆍ전자기기 메이커가 본격적으로 EV 제조에 나서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니, 자동차 게임이 아닌 실제 EV 자동차 제조에 나서다
일본 대표 게임업체 소니는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ITㆍ가전 전시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 혼다와 공동개발한 전기차 시제품 '아필라(AFEELA)'를 공개했습니다.
아필라는 소니와 혼다의 합작사인 소니혼다모빌리티에서 개발 중인 전기차로 차내에서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5(PS5)와 영화감상을 하는 등을 즐기는 것에 초점을 맞춰 제작됐습니다.
소니는 지난 2020년 첫 콘셉트카인 'Vision-S'를 공개해 본격적인 EV시장으로의 합류를 알렸습니다.
당시 자동차 제조사가 아닌 게임업체가 EV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전기차로의 전환과 함께 자율주행 시대가 다가오면서 차량이 단순한 운송수단이 아닌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생활공간으로 확장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이날 행사에서 소니혼다모빌리티 수장이자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카와니시 이즈미는 PS5 컨트롤러로 차량을 원격으로 호출하는 모습을 공개하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국내 가전ㆍ전자기기 업체도 EV 시장 패권 노린다
국내 가전ㆍ전자기기 업체도 EV 시장 패권을 노리기 위한 행보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LG전자는 CES에서 차세대 SDV 솔루션 'LG 알파웨어'를 공개했습니다.
LG 알파웨어는 '움직이는 주거 공간(Living Space on Wheels)'을 개발 테마로 잡고, 집안 공간을 차량에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LG 알파웨어는 앞좌석을 180도 회전 시켜 뒷좌석과 마주 앉는 구조로 바꿀 수 있는 기능을 비롯해 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고 에어컨 온도나 모니터 음량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편의기능을 통해 '일상 공간'으로의 탈바꿈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도 현대자동차그룹과 손을 잡고 '홈투카(Home-to-Car)'ㆍ'카투홈(Car-to-home)' 서비스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EV 시장 입지 다지기에 들어갔습니다.
양사는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플랫폼과 현대차ㆍ기아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 플랫폼을 연동해 차세대 스마트홈을 위한 홈투카(Home-to-Car) 와 카투홈(Car-to-home) 서비스 개발에 나섭니다.
홈투카(Home-to-Car)ㆍ카투홈(Car-to-home)는 스마트홈과 차량의 인포테이먼트 시스템을 연계해 서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집에서 차량 시동, 스마트 공조, 창문 개폐, 전기차(EV) 충전 상태 확인 ▲차에서 집 안의 TV, 에어컨 등 가전과 전기차 충전기를 제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EV 시장 패권을 놓고 수많은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과연 어느 업체가 EV 시장의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