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모빌리티 산업 결산 및 전망 주제로’ 제4회 자산어보 개최

▷한국자동차연구원, 21일 코엑스에서 ‘제4회 자산어보’ 개최
▷’모빌리티 산업 결산 밎 전망’ 주제로 산업, 학계 등 각 분야 관계자 100여 명 참석

입력 : 2023.12.21 22:00 수정 : 2023.12.21 22:36
한국자동차연구원 ‘모빌리티 산업 결산 및 전망 주제로’ 제4회 자산어보 개최 한국자동차연구원 주관 제4회 자산어보(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자동차연구원(이하 한자연)이 ‘모빌리티 산업 결산 및 전망’을 주제로 ‘제4회 자산어보’ 행사를 코엑스 스타트업 브랜치에서 21일 개최했습니다.

 

한자연이 주관하는 ‘자산어보’ 행사는 ‘자동차 산업을 어우르고 보듬다’의 약자로 모빌리티 산업 구성원들의 정기적인 만남과 교류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회를 발굴하는 모빌리티 네트워킹 행사입니다.

 

 
제4회 자산어보 참석자들의 모습(출처=위즈경제) 


행사에는 전종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학회장,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 원장, 홍성수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과 교수, 장문수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 기업분석팀 연구위원, 이정문 LG전자 VS한국선행영업팀 팀장을 비롯한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기업, 학계(연구원), 경제 각 분야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제4회 행사는 모빌리티 산업 결산과 전망을 주제로, 2023년을 마무리하며 1년 간의 모빌리티 산업을 되짚어보고, 2024년의 거시적인 전망 및 대응전략 등에 대한 자유로운 소통과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이날 행사에서 환영사를 맡은 나승식 한자연 원장은 2023년은 자동차 업계에 있어서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과도기에서 우리나라가 자동차 업계가 성장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는 것에 있어서 좋은 시그널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나승식 원장은 이어 “한자연은 자동차 분야에 대한 여러 가지 노하우와 광활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어 이를 활용해주시길 바란다” “한자연은 앞으로 더 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최선을 다해 고민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연구원은 AI아나운서인 한자연을 통해 올해 모빌리티 산업 브리핑을 진행습니다. 구체적인 브리핑 내용은 ▲EU 2035 내연기관 퇴출, e-fuel은 예외?’였다 ▲샌프란시스코 24시 자율주행 택시 승인부터 중단까지 ▲’전기차 보급의 시대, LFP 배터리의 부상’ ▲’미국/프랑스의 친환경차 인센티브 제도 개편’ 등이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한자연이 선도기업으로 선정한 동호, 아우토크립트 등 2개사를 소개하는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인 동보의 이구호 부사장은 (동호는) 57년 장수 기업으로 2000년 초반부터 현대∙기아차 1차 협력사로 등록된 이래로 자동차 엔진 및 변속기 관련 부품을 위주로 사업을 진행해왔다”면서 CASE(Connected, Autonomous, Shared, Electric)로 명명되는 자동차 산업의 큰 변화 앞에서 엔진 및 변속기를 과감하게 제외하고 고정밀∙고부품 소재 부품 전문 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사업다각화를 2021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동차 사이버보안 전문 기업 아우토크립트의 이종국 이사는 “자동차는 이미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는 필수품이 됐다. 이러한 가운데 자동차 보안은 사실상 하면 좋다가 아닌 필수사항이 됐다” 자동차 내외부에 대한 보안, 도로 교통 인프라에 대한 보안 등 모빌리티 분야의 총체적인 보안을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후에는 ‘2023년 모빌리티 산업 회고 및 2024년 모빌리티 산업 전망’에 대한 장문수 연구위원의 발표와 라운드테이블 세션도 진행됐습니다. 라운드테이블에는 장문수 연구위원을 비롯한 전종근 학회장, 이항구 원장, 홍성수 교수, 이정문 팀장 등이 참여해 토론 및 관객과의 자유로운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한자연은 4대 연구소인 ‘자율주행’, ‘친환경’, ‘새시∙소재’, ‘신뢰성∙인증’ 연구소의 연구성과 홍보 및 기술상담 컨설팅을 진행하는 부스를 운영해, 신규 협력기업 발굴과 기술애로 해소 지원 등 직접적인 기업지원에도 나섰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

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

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

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

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

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

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