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자율차 표준화로 세계시장 선점 나서…자율주행∙로봇 등 친화형 빌딩 구축도
▷산업통상자원부, ‘2023 자율차 표준화 포럼 총회 및 국제 콘퍼런스’ 개최
▷국토부, 2025년까지 스마트+빌딩 1만개 조성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9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에서 미국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등 국내외 전문가 100여명과 함께 ‘2023 자율차 표준화 포럼 총회 및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자율차 표주화 추진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자율차 표준화 추진 전략’은
국내 140여 개 기관 300여 명의전문가들로 구성된 ‘자율차 표준화 포럼’을 통해 지난 1년간
마련된 것으로, 데이터 표준, 핵심부품(라이다/카메라 등) 표준
등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시급한 KS 25건을 2025년까지
표준 제정하고, 국제표준 30건을 신규 제안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 ISO∙IEC 뿐 아니라 자율차 산업에 실질적 영향력이 큰 SAE 등 사실상
표준화 기구와의 표준 공동 개발 등 협력을 강화하여 국내 자율주행 기술이 세계시장에서 채택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SAE 윌리엄 가우스 국제협력국장은 미국의 자율차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한국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자율주행 시장 선점을 위한 세계 각국의 기술경쟁은
이제 표준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정부는 우리 표준에 대한
우방국과의 협력을 확대, 국내 기업이 세계무대로 뻗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도심 내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도심항공 교통(UAM) 기능이
결합된 미래 모빌리티 친화형 건물 1만동을 국내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19일 발표했습니다.
국토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 플러스 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로드맵에 따르면 자율주행, 스마트물류, UAM 등 모빌리티 시대에 맞춰 건축물이 모빌리티 친화 인프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축기준 마련과
함께 용적률∙건폐율 완화
혜택을 부여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기술 변화에 대응해 건축설계∙시공∙유지관리 기술도 고도화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합관리하는 건축물 플랫폼 개발도 추진합니다.
특히
대표적인 스마트 플러스 빌딩 구축 사례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천길병원, 고양시∙서대문구 청사에 대해 스마트 플러스 빌딩 적용 공동연구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실제 구현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국토부는
이번 추진안을 통해 국민의 여가 1시간을 추가로 확보하고 12조원가량의
건축산업 매출을 유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관련 일자리 13만
개를 신규 창출할 것으로 전망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