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정부, 자율차 표준화로 세계시장 선점 나서…자율주행∙로봇 등 친화형 빌딩 구축도

▷산업통상자원부, ‘2023 자율차 표준화 포럼 총회 및 국제 콘퍼런스’ 개최
▷국토부, 2025년까지 스마트+빌딩 1만개 조성

입력 : 2023.12.19 17:15 수정 : 2023.12.19 17:09
정부, 자율차 표준화로 세계시장 선점 나서…자율주행∙로봇 등 친화형 빌딩 구축도 (출처=산업통상자원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9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에서 미국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등 국내외 전문가 100여명과 함께 ‘2023 자율차 표준화 포럼 총회 및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자율차 표주화 추진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자율차 표준화 추진 전략은 국내 140여 개 기관 300여 명의전문가들로 구성된 자율차 표준화 포럼을 통해 지난 1년간 마련된 것으로, 데이터 표준, 핵심부품(라이다/카메라 등) 표준 등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시급한 KS 25건을 2025년까지 표준 제정하고, 국제표준 30건을 신규 제안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 ISOIEC 뿐 아니라 자율차 산업에 실질적 영향력이 큰 SAE 등 사실상 표준화 기구와의 표준 공동 개발 등 협력을 강화하여 국내 자율주행 기술이 세계시장에서 채택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SAE 윌리엄 가우스 국제협력국장은 미국의 자율차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한국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자율주행 시장 선점을 위한 세계 각국의 기술경쟁은 이제 표준으로 확대되고 있다정부는 우리 표준에 대한 우방국과의 협력을 확대, 국내 기업이 세계무대로 뻗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도심 내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도심항공 교통(UAM) 기능이 결합된 미래 모빌리티 친화형 건물 1만동을 국내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19일 발표했습니다.

 

국토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 플러스 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로드맵에 따르면 자율주행, 스마트물류, UAM 등 모빌리티 시대에 맞춰 건축물이 모빌리티 친화 인프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축기준 마련과 함께 용적률건폐율 완화 혜택을 부여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기술 변화에 대응해 건축설계시공∙유지관리 기술도 고도화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합관리하는 건축물 플랫폼 개발도 추진합니다.

 

특히 대표적인 스마트 플러스 빌딩 구축 사례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천길병원, 고양시∙서대문구 청사에 대해 스마트 플러스 빌딩 적용 공동연구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실제 구현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국토부는 이번 추진안을 통해 국민의 여가 1시간을 추가로 확보하고 12조원가량의 건축산업 매출을 유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관련 일자리 13만 개를 신규 창출할 것으로 전망입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