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결함 인정한 테슬라…미국에서 200만대 리콜 결정
▷테슬라, 자사 차량의 자율주행 보조장치 ‘오토파일럿’ 시스템 결함 수정 위해 200만대 리콜
▷2016년부터 최근까지 오토파일럿으로 인한 심각한 사고 8건 확인
(출처=인스타그램 Tesla)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자사 차량의 자율주행 보조장치인 ‘오토파일럿’의 시스템 결함을 고치기 위해 전 모델에 걸쳐 약 200만 대를 리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2012년 10월 5일부터 올해 12월
7일 사이 생산된 차량을 포함해 미국에서 판매된 거의 모든 테슬라 차량을 대상으로 무상 리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테슬라는 이날 리콜 공지문에서 “오토파일럿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운전자 부주의를 방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며 “이 때문에 충돌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테슬라 사상 최대 규모인 이번 리콜에는 2012~23년에 생산한 모델S, 2016~23년형 모델X, 2017~23년 모델3, 2020~2023년형 모델Y 등이 포함됩니다. 사실상 테슬라가 2012년부터 올해까지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 전부를
리콜하는 셈입니다. 다만 미국 외 지역에도 리콜이 실시될지는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의 오용 가능성을 막을 충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입니다.
NHTSA는 오토파일럿 기능이 작동한 테슬라 차량이 응급 차량 등과
충돌하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자 2021년 본격 조사에 착수, 운전자
부주의에 대해 제대로 경고했는지 등 결함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차량에 운전자들을 주의시키는 장치가 불충분해 오용될 소지가 다분하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NHTSA는 밝혔습니다.
한편 2016년부터 최근까지 테슬라의 자율주행 보조장치인 ‘오토파일럿’이 부적합한 환경에서 작동하면서 최소 8건의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9년 플로리다에선 자율주행 중이던 테슬라 차량이 도로 경고등을
무시하고 시속 70마일(약 113km)로 달리다가 길가의 보행자를 쳤으며, 2016년에는 오토파일럿이
작동되던 테슬라 모델 S와 트랙터가 주행 중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테슬라의 사용 설명서 등을 보면 오토파일럿의 주요 기능인 ‘오토스티어’에 대해 “중앙분리대가 있고 차선이 명확히 그어져 있으며
교차 주행이 없고 출입이 통제되는 고속도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적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언덕이나 급커브가 있을 경우 자율주행 기능이 불안정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