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현대차∙기아차도 채택한 테슬라의 NACS…업계 표준되나

▷포드, GM 등 자동차 업체 북미 충전 표준인 NACS 채택…유럽, 일본 전기차 시장에도 영향
▷테슬라 미국뿐 아니라 유럽에까지 NACS 영향력 확대

입력 : 2023.10.06 13:15 수정 : 2023.10.06 13:12
[외신] 현대차∙기아차도 채택한 테슬라의 NACS…업계 표준되나 (출처=테슬라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포드, GM(제너럴 모터스), 현대차, 기아 등 유수의 자동차 업체들이 연이어 테슬라의 북미 충전 표준(NACS)을 채택하면서 테슬라 슈퍼차저가 북미 전기차 충전시장뿐 아니라 유럽, 일본 시장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5(현지시간) 일본 주간지 제이비프레스(JBpress)’지난 5월 포드가 라이벌인 테슬라의 NACS 규격을 채택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히자 다른 자동차 업체들도 뒤를 따랐다라며 현재는 북미 시장에 한정적이지만 유럽, 일본으로까지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급속 충전기는 배터리 전기자동차(BEV) 보급에 필수적인 요소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에서 각자의 전기차 충전 규격을 글로벌 스탠다드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습니다. 하지만 올해 5월 포드가 자사 전기차에 테슬라의 독자 규격인 NACS를 채택할 것이라고 밝힌 후 메르세데스 벤츠, 닛산, 제너럴 모터스 등 자동차 업체들이 잇달아 같은 규격을 채택하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전기차 충전 생태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습니다.

 

또한 테슬라는 2021년부터 네덜란드를 시작으로 유럽 국가에 테슬라 외 다른 전기차도 충전할 수 있는 슈퍼차저 외부 개방을 추진하면서 유럽 국가로까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역시 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해 미국산 전기차에 한해 보조금을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처리했습니다. 이를 통해 미국이 전기차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경우, 유렵연합은 유럽 규격인 CCS2 포트만을 고집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동차 강국인 일본의 고심도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전기차 강국인 중국과 제휴를 맺고 일본 충전 규격인 차데모(CHAdeMO)와 호환이 가능한 차오지(Chaoji)를 중국과 공동개발하며, 전기차 시장의 주도권 확보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테슬라 NACS 표준화의 흐름에 밀리면서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