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예술과 함께하는 삶: 영감과 공감 그리고 성찰> 개최... 구자승 등 다양한 작가의 작품 전시

▷ 오는 1월 4일부터 2월 27일, 강남구 셀렉티드마롱에서 개최
▷ 신진 작가와 중견 작가가 함께하는 전시회

입력 : 2023.12.20 13:33
<예술과 함께하는 삶: 영감과 공감 그리고 성찰> 개최... 구자승 등 다양한 작가의 작품 전시 (출처 = GOUN)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4년 갑진년(甲辰年)을 맞아 고운(GOUN, 대표 최고운)‘<예술과 함께하는 삶: 영감과 공감 그리고 성찰(Life with Art: Inspiration Empathy and Reflection)>’ 전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회는 오는 14일부터 227일 서울시 강남구에 자리한 갤러리 셀렉티드마롱에서 열리며, 구자승, 김윤경, 다니엘 신, 박영선, 이규원, 잠산 등 미술계 대가부터 신진 작가 등 다양한 작품 50점이 전시됩니다. 이번 전시회는 사전 예약을 통해 관람이 가능하며, 셀렉티드마롱 카페 방문자도 참석이 가능합니다.

 

이번 전시회에 참여하는 작가들 중, 구자승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현대 사실주의화의 화가입니다.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나와 동대 미술대학원을 졸업한 뒤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작품을 그린 미술계의 원로입니다.

 

 

구자승, <무제> (출처 = GOUN)

 

 

정물화를 통해 여백과 공간, 조형 방식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명망이 깊습니다. 김윤경 작가는 현대인의 자아와 삶의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 내면의 성찰 과정을 부드러운 유화 작가이며, 다니엘 신은 흔적과 기록으로서 선을 통해 우리 개인의 감정과 삶을 표현합니다.

 

이외에도, 여성을 소재로 한 인물화로 대표되는 사실주의 경향 화가 박영선, Ai를 통해 새로운 트렌드의 미술을 선보이고 있는 이규원, ‘사이코지만 괜찮아등으로 이름을 알린 잠산 등의 아티스트가 전시회에 참여합니다.

 

이번 전시회를 기획한 최고운 전시 감독은 대가든 중견 작가든 신진 작가든, 그 예술이 어떤 사람에게 영감과 공감을 주고, 성찰하게 하며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는 그런 작품이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한다,옛날 시절부터 예술은 늘 우리 곁에 있었다. 예술을 함께 했느냐와 함께 하지 않았느냐로 나뉘는 것 같다. 저의 추천작들을 통해 예술과 함께하는 삶을 영위하시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진형 <사라지는 것들을 사랑한다는 것 2> (출처 = GOUN)

 

 

한편, 이번 전시회를 지원하는 마롱컴퍼니(대표이사 이어진)B2B 미술 프로젝트 사업을 시작으로 조형물 제작, 공공미술, 건축미술 심의, 유럽 내 세일즈 에이전시 설립 등 예술계에서 영역을 넓히고 있는 기업입니다.

 

마롱컴퍼니 측은 우리나라 미술 산업의 성장에 대해 고민하고, 도전하고 있다, 현재는 순수미술로 돌아와 기존의 갤러리들과 차별점이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