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대한민국 기타 페스티벌...오는 21, 22일 양일간 개최
▷한국기타협회 주최...아이피샵 후원
▷오는 10월 21~22일 수원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열려
▷슈퍼밴드2 장하은 등 공연...인터파크서 예매 가능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한국기타협회가 주최하고 아이피샵이 후원하는 '2023 대한민국 기타 페스티벌'이 오는 10월 21일 토요일과 22일 일요일 양일간 수원대학교 음악대학에서 개최합니다.
이번 페스티벌은 한국에서 가장 많은 클랙식기타 전공생이 재학중인 수원대학교와 64년의 전통을 가진 한국기타협회가 MOU를 맺고 수원 지역에 클래식기타를 알리자는 취지로 개최되었으며, 한국기타협회가 해마다 진행해온 "42회 전국기타콩쿠르"와 다양한 콘서트 및 세미나, 악기전시회 등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한국기타협회의 '전국기타콩쿠르'는 기타리스트 변보경, 박규희, 조대연 등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연주자들을 배출했습니다.
본 행사는 10월 21일 토요일 오후 5시에 이번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수원대학교 졸업생들로 이루어진 '와우기타앙블'의 공연을 무료 관람으로 진행하며, 10월 22일 일요일 오후 5시에는 JTBC <슈퍼밴드2>에서 장르의 벽을 허무는 매력적인 기타리스트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장하은"과 수원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중인 기타리스트 "임재민"의 연주를 관람할 수 있으며, 티켓은 인터파크에서 예매가 가능합니다.
또한, 한국을 대표하여 수제 기타를 제작하는 엄태흥, 엄홍식 부자와 신현구, 김원기, 김중훈, 길기타, 서영, 이성관, 피어리나, 홍원의 등의 수준 높은 수제 기타를 무료로 시연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고 합니다.
이번 행사는 IP 종합거래 플랫폼 운영사인 '아이피샵', 미국의 대표적인 기타스트링 회사인 'Augustin Guitar Strings', 코르도바 기타, 마르티네즈 기타 등의 수입 제작 유통사 및 수제 기타 제작가 '신형구 기타' 등의 후원으로 치러집니다.
한편, 후원사로 참여한 '아이피샵'은 클래식 기타 연주를 포함한 다양한 악기의 연주로 이루어진 음원들을 폭넓게 보유하고 있고, 최근에는 반려동물들이 들을 수 있는 음원이 수록된 "애니멍 프로젝트" 음반을 제작하기도 하였으며, 기타리스트 장하은과 함께 <슈퍼밴드2>에 출연하여 많은 사랑을 받은 가수 DAVII(다비)의 "Art of Light" 앨범을 제작하는 등 클래식을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음원시장에서 저변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