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가격 인상 소식에..."그냥 홈술 할께요"
▷오비맥주, 이날부터 카스·한맥 출고가 6.9% 인상
▷"각종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국제유가 급등 영향"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원유가격 인상 여파로 우유와 유제품 가격이 오른 가운데 주류업계까지 제품 출고가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와 누리꾼들 사이에 한탄이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11일 오비맥주는 카스·한맥 등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가를 평균 6.9% 올립니다. 작년 3월 이후 19개월 만의 인상입니다.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트, 편의점 등에서 많이 팔리는 카스 500㎖ 캔 제품 가격은 종전 가격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하이트진로, 롯데칠성음료 등 다른 주류업체들은 현재 제품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재료비와 물류비 등 가격 인상 요인이 있는 만큼 추후 가격 조정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환율 불안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각종 원부자재 가격의 상승과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한 물류비 상승으로 제품가격 조정이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슈퍼와 대형마트 등 판매가는 물론 식당가 맥주 가격도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상적으로 식당가에서는 맥주와 소주 등 주류의 출고가가 소폭 오를 때마다 1000원 단위로 인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소주와 맥주를 섞는 '소맥'은 각 1병만 시켜 마셔도 1만원을 훌쩍 넘어설 전망입니다.
소주 출고가 인상 가능성 역시 무시할 수 없습니다. 소주의 주원료인 주정(에탄올) 가격이 매년 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10개 주정 제조사의 주정을 판매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올 4월 주정 가격을 평균 9.8% 올렸습니다.
이와 같은 소식에 소비자들은 외식을 줄여야겠다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차라리 홈술(집에서 마시는술)이 더 괜찮다는 반응입니다. 서울 은평구에 사는 박소정(33·여)씨는 "안그래도 물가가 계속 상승되고 있는데 맥주가격까지 올라 충격이 크다"면서 "예전에는 일끝나면 동료들과 술한잔 하는게 낙이였는데 이제는 그냥 집에서 홈술하거나 아예 술을 먹지 않아야 할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광진구에 사는 김용진(29·남)씨는 "이미 물가가 많이 오른 이후 부담이 돼서 저녁자리가 줄고 대신 집에서 홈술을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면서 "맥주 등 술값이 오르면 지금까지 홈술하면서 느꼈던 소소한 행복도 사라지는 것 같아 기분이 좋지 않다"고 토로했습니다.
누리꾼들은 "지금까지 싼맛에 국산맥주 마신건데 비싸면 수입맥주 마시겠다", "국산맥주값만 올리지 말고 맛부터 올리는게 먼저다", "전기요금·가스요금·교통비 안오르는게 없는데 정부는 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