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가격 인상 소식에..."그냥 홈술 할께요"
▷오비맥주, 이날부터 카스·한맥 출고가 6.9% 인상
▷"각종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국제유가 급등 영향"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원유가격 인상 여파로 우유와 유제품 가격이 오른 가운데 주류업계까지 제품 출고가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와 누리꾼들 사이에 한탄이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11일 오비맥주는 카스·한맥 등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가를 평균 6.9% 올립니다. 작년 3월 이후 19개월 만의 인상입니다.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트, 편의점 등에서 많이 팔리는 카스 500㎖ 캔 제품 가격은 종전 가격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하이트진로, 롯데칠성음료 등 다른 주류업체들은 현재 제품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재료비와 물류비 등 가격 인상 요인이 있는 만큼 추후 가격 조정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환율 불안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각종 원부자재 가격의 상승과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한 물류비 상승으로 제품가격 조정이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슈퍼와 대형마트 등 판매가는 물론 식당가 맥주 가격도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상적으로 식당가에서는 맥주와 소주 등 주류의 출고가가 소폭 오를 때마다 1000원 단위로 인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소주와 맥주를 섞는 '소맥'은 각 1병만 시켜 마셔도 1만원을 훌쩍 넘어설 전망입니다.
소주 출고가 인상 가능성 역시 무시할 수 없습니다. 소주의 주원료인 주정(에탄올) 가격이 매년 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10개 주정 제조사의 주정을 판매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올 4월 주정 가격을 평균 9.8% 올렸습니다.
이와 같은 소식에 소비자들은 외식을 줄여야겠다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차라리 홈술(집에서 마시는술)이 더 괜찮다는 반응입니다. 서울 은평구에 사는 박소정(33·여)씨는 "안그래도 물가가 계속 상승되고 있는데 맥주가격까지 올라 충격이 크다"면서 "예전에는 일끝나면 동료들과 술한잔 하는게 낙이였는데 이제는 그냥 집에서 홈술하거나 아예 술을 먹지 않아야 할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광진구에 사는 김용진(29·남)씨는 "이미 물가가 많이 오른 이후 부담이 돼서 저녁자리가 줄고 대신 집에서 홈술을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면서 "맥주 등 술값이 오르면 지금까지 홈술하면서 느꼈던 소소한 행복도 사라지는 것 같아 기분이 좋지 않다"고 토로했습니다.
누리꾼들은 "지금까지 싼맛에 국산맥주 마신건데 비싸면 수입맥주 마시겠다", "국산맥주값만 올리지 말고 맛부터 올리는게 먼저다", "전기요금·가스요금·교통비 안오르는게 없는데 정부는 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