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국제유가에 악영향 미치나... '호르무즈 해협' 주시해야

▷ 격화되는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국제유가 파동 우려
▷ 주변 산유국들의 대응 따라 국제유가 향방 결정
▷ 이란 압박받으면 '호르무즈 해협' 개입 우려도... 국제유가에 큰 영향

입력 : 2023.10.10 12:30 수정 : 2024.06.04 15:49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국제유가에 악영향 미치나... '호르무즈 해협' 주시해야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대대적인 공격을 가하면서, 석유 공급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분쟁이 벌어지는 지역 인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산유국들이 자리한 데다가, 어느 쪽을 지지하느냐에 따라 외교적으로 민감한 문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해당 사태와 관련한 국내 석유, 가스 수급 현황과 국내외 유가 영향 등을 점검하기 위해 지난 9일 오후 석유공사, 가스공사와 함께 긴급 상황점검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 曰 중동은 한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67%와 가스의 37%를 공급하는 지역이며, 중동의 정세가 우리의 에너지 안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매우 큰 만큼, 향후 이스라엘-하마스 사태가 국내 수급 차질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와 유관기관, 업계가 합동 총력 대응할 것

 

하마스-이스라엘 충돌의 여파로 인해 국제유가는 지난 9일 기준 전 거래일 대비 약 3.6% 오른, 배럴당 87.7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수요가 줄어들어 위축되었던 국제유가가 슬금슬금 오름세를 타고 있는 셈인데요.

 

이번에 열린 회의에서는 이스라엘-하마스 사태가 국내에 원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수급에 당장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현재 중동 인근에서 항해 또는 선적 중인 유조선 및 LNG 운반선은 모두 정상 운행 중에 있는데요.

 

향후 국제유가는 이스라엘 주변 산유국 대응 등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석유공사, 가스공사와 이전 중동의 분쟁 사례와 현재 국제정세 등에 면밀히 분석한 뒤, 석유 및 가스 가격의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사태로 인한 공급망 우려에서, 보다 눈여겨 봐야할 지역은 호르무즈 해협입니다. 호르무즈 해협은 국내 주요 원유/가스 도입경로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원유 수출의 37%가 통과하는 지역입니다. 이란 남부 국경에 자리하고 있는데요.

 

만약 이번 사태가 이란에게도 영향을 미쳐 미국이 이란을 압박하면, 국제유가가 크게 요동칠 수도 있습니다. CNN 국제유가의 가장 큰 위험은 이스라엘과 최대의 적 이란 사이의 긴장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달려 있다”(“The biggest risk for oil prices is how tensions between Israel and its arch-enemy Iran play out”), 이스라엘은 이란이 하마스 등을 포함한 단체들을 통해 대리전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번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에서도 이란이 깊게 관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갈등으로 크게 번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란이 세계 원유 시장에서 행사하는 영향력은 높지 않습니다. CNN 보도에 따르면, 이란은 지난 3분기에 약 하루 약 140만 배럴의 원유를 수출했는데, 이는 전 세계 공급량의 최대 1.4% 수준입니다.


다만, 미국이 이란을 압박할 경우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에 개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CNN이란의 개입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원유의 흐름을 방해할 수도 있다”(“An intervention by Iran could potentially involve disruptions to the flow of oil through the Strait of Hormuz”)고 진단했습니다.


국제 무역 데이터 전문 기업 Kpler의 분석가 호마욘 팔락샤히(Homayoun Falakshahi)는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에 개입하는 건 완전히 판도를 바꾸는 일이 될 것”(That would be a complete game-changer for the oil market”)이라며,우리는 [가격이] 2% 오르는 일은 볼 수 없지만, 20% 오르는 건 볼 수 있다”(“We wouldn’t see a 2% [price] spike, we’d see a 20% spike”)고 이야기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