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홍콩 투자자들 앞에선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한국, 투자 환경 많이 개선돼"

▷ 김 부위원장, 홍콩 찾아 투자설명회 개최
▷ 한국 정부의 금융시장 개선 정책 설명... 홍콩 투자자 "의사결정에 도움"
▷ 아서 위엔 홍콩 금융관리국 부청장, "국제적 금융중심지 되려면 '허브' 역할할 수 있어야"

입력 : 2023.09.11 17:10 수정 : 2023.09.11 17:09
홍콩 투자자들 앞에선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한국, 투자 환경 많이 개선돼" 홍콩 투자자들에게 설명 중인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모습 (출처 = 금융위원회)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홍콩을 방문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홍콩에서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Investor Relations, IR)을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 부위원장은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자본/외환시장의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을 설명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금융 시장에 기울이고 있는 노력을 홍콩의 투자자들에게 알려, 국내 증시로의 자본 유입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기업 자금조달을 원활히 함으로써 경제성장에 기여하기 위함입니다.

 

이번 투자설명회에는 J.P Morgan, Allianz, Fidelity 등 약 20여개의 글로벌 자산운용사는 물론 보험사와 한국 투자를 담당하는 펀드 매니저 약 40여 명이 직접 참석했습니다.

 

이들에게 김 부위원장은 외국인 ID 폐지 등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방안, 외국인의 국채 투자 비과세, 외환시장 개장시장 연장 등의 방안을 발표하며, 한국의 투자환경이 기존보다 크게 개선되고 있음을 설명했습니. 이어, 우리 자본시장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여 투자 성장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습니다.

 

홍콩의 투자자들과 전문가들은 김 부위원장의 설명회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현장의 참석자들은 한국 시장의 투자자로서 제도 변화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번 투자설명회가 최근 추진 중인 제도개선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되어 투자 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특히, 30년 만의 외국인 ID 폐지, 외국 금융기관의 한국 외환시장 직접 참여 허용 등은 투자자 입장에서 오랜시간 기다려온 아주 긍정적인 변화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이 홍콩 투자자들 앞에서 직접 설명회를 열 정도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데에는 홍콩 자체가 글로벌 금융중심지로서의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5월에 나온 IMF의 연례협의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은 건실한 제도적 환경 및 금융규제와 충분한 자본을 갖추고 있어 국제적 금융중심지로서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홍콩의 자본력과 유동성이 우리나라 증시로 유입될 수 있다면, 그만큼 높은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업이 자금력을 확보해 이익을 창출하고, 이를 배당으로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환원할 수 있다면 자본시장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한국국제경영학회는 외국인 순투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논문을 통해, 외국인 순투자는 주가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고,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외국인 순투자의 효과는 점점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진단한 바 있습니다.

 

김준동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曰 외국인투자는 외국자본을 안정적으로 도입하여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수단, 또한 세수의 증대를 가져오고 고용을 창출하여 경제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품의 가격을 낮추며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소비자에게도 이득을 가져온다

 

문제는 지난 8월 우리나라의 외국인 증권투자 성적이 그리 좋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금융감독원의 ‘20238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상장주식 11,790억 원을 순매도하고, 상장채권 3,830억 원을 순회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8월 중 총 15,620억 원의 자금을 외국인 투자자들이 순회수해간 셈입니다.

 

상장주식 순매수의 경우, 2023년 들어서 3(21,400억 원)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11,790억 원)입니다. 주식과 채권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이 빠지면서 보유잔액이 감소했고, 20238월말 현재 외국인은 상장주식 679.1조 원(시가총액의 26.1%), 상장채권 242.6조 원(상장잔액의 9.7%) 등 총 921.6조 원의 상장증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편,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아서 위엔(Arthur Yuen) 홍콩금융관리국 부청장을 만나 조언을 구했습니다. 한국이 홍콩 같이 금융중심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물었는데요.

 

아서 부청장은 한국이 글로벌 금융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말 그대로 허브가 되어야 한다며, 홍콩이 그러했듯 한국도 아시아와 세계를 이어주는 연결점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

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

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

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

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

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

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