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6월 은행권 부실채권비율 0.41%... "양호한 수준"

▷ 전분기말(0.41%) 및 전년동기(0.41%)와 유사한 규모
▷ 금융당국,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 불확실성 확대 대비"

입력 : 2023.09.04 14:25
6월 은행권 부실채권비율 0.41%... "양호한 수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금융감독원의 ‘20236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41%, 전분기말(0.41%) 및 전년동기(0.41%)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6월말 기준 부실채권은 10.5조 원으로 전분기말(10.4조 원)보다 0.1조 원 증가하는 데에서 그쳤습니다. 금융당국은 은행의 건전성이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으나, 부실채권의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올해 2분기, 새로 생긴 은행권의 부실채권은 4.0조 원으로, 전분기(3.0조 원) 대비 1.0조 원 늘었습니다. 전년 동기(2.3조 원)와 비교하면 1.7조 원 늘었는데요. 지난 2021년과 2022년의 발생 규모에 비해선 많은 양입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2.8조 원으로 가계여신 신규부실(1.0조 원)보다 많았으며, 증가폭 역시 컸습니다. 가계보다는 기업이 은행권으로부터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셈입니다.

 

다만, 기업 여신을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닙니다. 부실채권을 부문 별로 살펴보면, 총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49%로 전분기말(0.50%) 대비 0.01%p 떨어졌습니다.

 

같은 기간, 대기업여신이 0.03%p 떨어졌으며, 중소기업여신은 유사한 수준인 0.57%p를 유지했습니다. 개인사업자여신만 0.03%p 오른 0.30%으로 나타났는데요.

 

가계여신의 부실채권비율은 전분기말(0.23%)보다 0.02% 상승한 0.24%로 나타났습니다. 주택담보대출과 기타 신용대출 부실채권 모두 같은 기간 0.02%p 오른 각각 0.15%, 0.47%를 기록했습니다.

 

금융당국이 부동산 등 각종 대출 규제를 풀면서, 가계 대출의 규모 자체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기준 시중 5대은행의 가계 대출 잔액은 약 680조 원 규모로, 한 달 만에 16천억 원 가량 증가한 바 있습니다.  


부실채권을 은행 별로 보면, 인터넷전문은행 토스가 눈에 띕니다. 토스의 20236월말 기준 총여신은 10조 원으로 다른 시중 5대 은행보다는 낮습니다만,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의 증감율은 전년 동기 대비 1.13%로 은행들 중 가장 높습니다.

 

은행의 건전성을 판별하는 핵심 지표, ‘대손충담금’(은행이 회수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는 회계 상의 금액)의 적립 비율을 토스는 전년 동월 대비 1,036.1% 줄이긴 했습니다만, 부실채권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건 사실인데요.

 

그럼에도 토스의 최근 금융 성적은 좋은 편입니다. 지난달 31일 토스의 경영공시에 따르면, 토스의 올해 지난 6월 실적은 384억 원의 적자로 전년 동기(1,234억 원 적자) 대비 나아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명목순이자마진(Net Interest Margin)은 늘고 총자산순이익률의 적자 규모는 감소하는 등 나름 선방한 건데요. 토스 측에선 적자 규모 감소를 이유로 올해 3분기에는 흑자를 기대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은행권의 20232분기 내에 부실채권을 3.9조 원 정리했습니다. 전분기(2.7조 원) 대비 1.2조 원 늘었으며, /매각이 약 2.3조 원, 여신 정상화가 0.8조 원, 담보처분을 통한 여신회수가 0.5조 원 등입니다.

 

금융당국은 “20236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전분기말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라며, 은행의 건전성이 적정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최근 중국 부동산시장 불안 및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비하여 선제적인 자산건전성 관리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금융당국은 중국의 부동산 시장의 불안이 단기적으로 우리 금융계에 끼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했으나, 이것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충분한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때문에 금감원은 은행권의 부문별 부실채권 증감 및 취약요인을 면밀히 지도하고, 하반기에도 자산건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도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