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7월 은행권 예대금리차 소폭 감소... 당기순이익은 규모 유지

▷ 7월 총대출금리, 총수신금리의 차이 2.52%p... 전월대비 0.04%p 감소
▷ 은행권 2분기 당기순이익 14.1조 원... 상반기를 종합하면 4.3조 원 증가

입력 : 2023.08.31 14:40
7월 은행권 예대금리차 소폭 감소... 당기순이익은 규모 유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국은행의 ‘20237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다르면, 7월말 기준, 은행권의 잔액 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2.64%로 전월말대비 0.05%p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대출금리는 연 5.16%로 전월말대비 0.01%p 증가했고, 이로써 총대출금리와 총수신금리의 차이는 2.52%p로 전월대비 0.04%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12월 기준 2.55%p에 달했던 예대금리차는 2.52%p까지 감소했는데요.

 

지난 3, 은행권의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예대금리차와 전세대출금리를 추가로 비교공시하는 등 금융당국의 움직임이 효과를 드러낸 듯합니다. 당시 금융당국은 “(금리정보) 공시 강화에도 불구하고 은행권은 예대마진을 통해 역대 최고수익을 기록하는 등 은행간 경쟁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책의 취지를 설명했는데요.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은행은 예대금리차를 이용해 많은 이익을 벌어들였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중앙은행의 긴축 재정 기조가 은행권으로 하여금 이상적인 영업 환경을 조성해주었기 때문입니다. 2019년 기준 13.9조 원에 달하던 은행권의 당기순이익은 지난해에 18.6조 원으로 뛰어올랐고, 그 기세는 잠시 주춤했다가 다시 상승세를 되찾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의 ‘20232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은행권의 당기순이익은 14.1조 원으로 전년 동기(9.8조 원) 대비 4.3조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가폭이 무려 43.9%에 달하는데요.

 

2분기를 기준으로 보면,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7.1조 원으로 전분기와 유사합니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은 한화오션 관련 거액 충당금 환입(1조 원) 등 비경상적요인으로 순이익이 크게 증가한 산업은행을 제외한 19개 은행 기준으로는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분기 기준 산업은행 제외 19개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지난 분기 6조 원에서 5.4조 원으로 줄어들었지만, 산업은행의 상황은 다르다는 겁니다. 산업은행을 비롯한 여러 은행은 한화오션이 출범할 때 돈을 빌려준 바 있는데, 산업은행이 당시 빌려준 돈을 이번 상반기에 충당금으로서 돌려받은 겁니다. 참고로 산업은행의 충담금 규모는 약 16천억 원으로 은행 중 가장 큽니다.

 

주목해야할 건 은행권의 이자이익입니다. 올해 상반기 국내은행의 이자이익은 29.4조 원으로 전년동기 26.2조 원 대비 3.2조 원(+12.2조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분기의 이자이익은 14.7조 원으로 전분기와 유사했는데요.

 

금융당국은 “20224분기 이후 2분기 연속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하고 있으나, 이자수익자산이 소폭 증가하며 이자이익 규모는 유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예대금리차가 조금이나마 줄어들면서 입은 순이자마진의 손해를, 이자수익자산을 마련해 상쇄했다는 겁니다.

 

★순이자마진(Net Interest Margin)

예대금리차로 인한 수익과 채권 등 유가증권에서 발생한 이자를 포함, 금융기관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반면, 올해 2분기 국내은행의 비이자이익은 1.8조 원으로 전분기(2.1조 원) 대비 0.3조 원 감소했습니다. 외환/파생관련손익 및 기타영업손익 등은 증가했으나, 고금리로 인해 유가증권관련손익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유가증권의 매매, 평가, 배당 모두 지난 분기에 비해 부진했습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중국 부동산發 글로벌 경기둔화 및 통화긴축 지속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어 예상치 못한 충격에도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익에 기반하여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에 국내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현황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스트레스 완충자본 등 제도개선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대손충담금

한 해가 다 지나갈 때까지, 은행이 회수하지 못할 것 같은 매출채권의 금액을 비용으로 산정한 것. 사실상 은행의 손실로 보기 때문에, 대손충담금이 얼마나 쌓였는지에 따라 은행의 재무건전성을 가름할 수 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