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제전망, KDI "보합"VS 한경연 "역대최저"
▷KDI 1.5% 전망..."상반기 경제가 기존 전망에 부합"
▷한경연 1.3% 전망...경제 위기 등 제외하면 가장 낮은 성장률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원(KDI)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민간 경제연구소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서로 다른 경제 전망치를 내놓았습니다.
KDI는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전망했습니다. 지난 5월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수치와 동일합니다. 주요 기관과 비교해면 정부(1.4%), 한국은행(1.4%), 국제통화기금(IMF·1.4%) 등보다는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등 과는 같습니다.
KDI는 올해 상반기 경제가 기존 전망에 부합했다며, 하반기에도 기존 전망과 비슷한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KDI 상반기 전망과 같은 0.9%였습니다. 하반기에는 2.0% 성장할 것으로 예측해 '상고하저(上底下高)' 전망이 유효할 것으로 봤습니다.
부동산 시장 위축 등으로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효과가 제한적이지만, 최근 물가 상승세 둔화 등으로 미국 경제 하방 위험(downside risk·예상보다 경기가 나빠질 가능성)이 완화된 점을 반영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 소비는 당초 예상보다 증가세가 둔화하지만, 상품 수출과 건설투자 부진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민간소비는 국외여행의 회복 속도가 완만한 수준에 그친 점을 반영해 2.5% 증가할 것으로 봤습니다. 기존 전망치보다 0.5%p 낮습니다.상품 수출 증가율은 상반기 자동차 실적의 호조 등을 반영해 기존 전망(0.7%)을 웃도는 1.4%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총수출의 연간 증가율은 1.4%로 기존과 동일했습니다. 중국인 관광객 유입이 지연된 데 따라 서비스 수출 증가세가 기존 전망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점을 반영했습니다.
건설투자 증가율(1.3%)은 부동산 파이낸싱프로젝트(PF) 시장 불안 등의 영향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반영해 기존 전망치(0.4%)를 상회할 것으로 봤습니다.KDI는 내년 경제 성장률(2.3%)도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습니다.
반면 한경연은 상황을 좀 더 부정적을 봤습니다. 한경연은 11일 발표한 '경제동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3%에 그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가 연내 흐름을 반전시키기 힘들 것으로 내다본 것입니다.
내수·수출 모두 동반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경제성장률 1.3%는 금융위기(2009~2011), 코로나19(2020~2021) 등 경제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숫자입니다.
장기간 점진적으로 진행된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성장 모멘텀 약화,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 지연이 겹치면서 연말까지 경기 반등은 사실상 힘들어졌다는 분석입니다.
한경연은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부재 ▲미 연준의 금리인상 지속 ▲부동산 불황으로 실물경기 위축 ▲부채 연체율 급등에 따른 금융위기 가능성 상승 등 경제성장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성장률의 0.1~0.2%포인트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