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진정에도... 소비자심리지수, 기업 경제심리지수 동반 하락세
▷ 8월 소비자심리지수, 경제심리지수 모두 0.1p 하락
▷ 소비자 물가수준, 주택가격 전망은 오름세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상저하고(上底下高)란 정부의 경제 전망과 함께, 경제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의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2.3%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1년 6월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선 상태가 양호한 편입니다.
하지만 소비자들과 기업이 체감하는 경제 상황은 다소 다른 듯합니다.
한국은행의 ‘2023년 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드러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8월 중 103.1로 전월대비 0.1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지수
중 ‘현재경기판단’과 ‘향후경기전망’ 지수가 각각 3p, 4p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취업기회전망’ 역시 1p 감소했는데요. 생활형편전망과 가계수입전망이 모두 1p 증가한 모습과는 대조적입니다. 소비자들의 경제적인 상황과 전망이 낙관적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셈입니다.
주목할 부분은 물가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입니다. 물가수준전망은 전월대비 3p, 주택가격전망은 5p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1년 뒤면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것이고, 특히 부진에 빠졌던 부동산 시장의 반등을 점치는 소비자 심리도 강해진 셈입니다.
실제로 올해 하반기면 부동산 시장이 변곡점을 맞을 거라는 전문가 시각도 있습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지난 6월 “거래량, 전세가격, 금리추이
등 선행지표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데이터주기가 충분히 축적된 올 하반기 특히 가을이사철 정점인 9~10월이
(부동산시장의) 변곡점이 될 확률이 높다”고 전망한 바 있습니다. 물론, 경제성장률과
가계부채 현황, 금리인하의 여부 등 여러가지 변수들은 남아있습니다.
한편, 8월 기업의 경제심리지수(ESI)
역시 소비자심리지수와 마찬가지로 지난달에 비해 0.1p 감소한 94.0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7월의
감소폭(-1.6p)보다는 규모가 작습니다만, 2개월 연속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기업경제심리지수를 구성하는 지표, 기업경기실사지수(BSI)의 상황도 그리 좋지 않습니다.
제조업의 업황 BSI는 67로 전월대비 5p 하락했습니다. 대기업(-2p)과 중소기업(-8p), 수출기업(-4p), 내수기업(-5p) 모두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매출과 채산성, 자금사정, 생산, 인력사정 등 대부분의 지표가 전월보다 부진했고, 원자재구입가격과 제품판매가격만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제조업은 경영애로사항으로 불확실한 경제상황(19.1%)을 우선적으로 꼽았고, 그 뒤를 내수부진(16.8%)과 수출부진(16.2%)이 이었습니다.
비제조업의 업황 BSI 역시 전월에 비해 1p 하락한 75로 나타났으며, 매출과
채산성, 자금사정, 인력사정 모든 지표가 감소세를 보이면서
제조업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