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내 1위 관광지'도 옛말?... 2분기 제주도 소비 감소율 전국에서 가장 높아

▷ 지난 2분기 기준 제주도 소매판매 -7.4%... 면세점 소비 부진
▷ 내국인 관광객 수 감소세, 외국인 관광객 수는 증가
▷ 제주도, 중국인 관광객 적극 유치 나서

입력 : 2023.08.21 15:30
'국내 1위 관광지'도 옛말?... 2분기 제주도 소비 감소율 전국에서 가장 높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의 20232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제주도의 소매판매가 전국에서 가장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의 소매판매는 -7.4%, 그 뒤를 대구(-5.0%), 전남(-4.9%) 등이 잇고 있는데요. 제주도의 소매판매지수는 지난해 4분기부터 지속적인 하향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감소폭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 2분기, 제주도에서는 면세점(-27.5%)과 슈퍼마켓/잡화점/편의점(-7.5%), 전문소매점(-3.9%)에서의 소비가 감소했습니다. 소비가 줄어드는 현상은 전국(-0.3%)에서 나타나긴 했습니다만, 특히 제주도 면세점에서의 감소폭이 눈에 띕니다.

 

지난 2분기 기준 전국 면세점의 소매판매는 -24.4%로 제주도보다 감소폭이 낮습니다. 제주도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이 지난 1분기 보다 낮은 2.4%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부진한 셈입니다.

 

면세점을 넘어 제주도 내에서 소비가 침체에 빠지고 있다는 점은, 최근 제주도의 관광산업과 연관이 깊은 듯합니다. 제주관광공사의 ‘20236월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실태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에 제주도를 방문한 내국인 관광객의 수는 전년동기대비 1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들어서 제주도 내국인 관광객 수는 3(9.8%)을 제외하곤 모두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6월의 감소폭은 지난 5(-15.9%)보다 증가했습니다. 성별, 연령대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제주도 내국인 방문객 수는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는데요.

 

이러한 변화에 맞서 제주도는 외국인관광객으로 활로를 찾으려는 것 같습니다. 내국인 관광객과 달리, 제주도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은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기준, 외국인 방문객은 총 112,924명으로 전년동기대비 809.4% 상승했습니다.

 

코로나19 엔데믹의 특수를 톡톡히 보고 있는 셈입니다. 제주도 외국인 방문객 중 중국인이 36.4%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그 다음을 일본(24.6%), 대만(6.7%), 홍콩(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제주도를 가장 많이 찾은 외국인 관광객으로 나타났는데요.

 

게다가, 최근 중국이 한국행 단체관광을 허용하면서, 향후 제주도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베이징 제주관광설명회 (출처 = 제주도)

 

 

오영훈 제주도지사 曰 한국인 단체관광 허용 하루 만에 중국발 크루즈선 제주 기항 신청이 53척이나 몰렸고, 17일까지 일주일 동안 267척으로 급증했다. 제주와 중국을 잇는 항공기 직항노선도 늘어나 접근성이 더 좋아지면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제주도는 지난 18, 중국 베이징에서 제주관광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제주도 측은 제주의 관광 인프라를 소개하고, 뛰어난 자연경관과 무비자 입국 제도 등 제주 관광의 강점을 적극 홍보했는데요.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제주와 중국의 관광 교류 활성화는 제주는 물론 한국과 중국 양국의 경기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중국인의 제주도 관광을 독려했습니다.

 

중국 측도 이에 화답했습니다. 아오요왕 중국청년여행사(CYTS) 회장은 중국 여행업계도 한국행 단체관광 허용을 기다려 왔다, 제주는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여행지로,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제주의 노력이 곧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밝혔는데요.

 

내국인 관광객이 감소하고, 소비가 침체한 제주도에 중국인 관광객이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