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폴 플러스] 제주도 환경보전분담금제도?... 참여자 10명 중 8명이 반대

▷ 제주 환경보전분담금제도, 반대 82.6%, 찬성 17.3%

입력 : 2023.05.02 17:00 수정 : 2023.05.02 17:15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위즈경제가 제주도 여행하려면 8천 원 더 내라?... 환경보전분담금제도 찬성 Vs 반대란 제목으로 폴앤톡을 진행한 결과, 참여자의 82.6%가 제주 환경보전분담금제도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폴앤톡은 지난 417일부터 5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105명이 참가했습니다.

 

 
먼저, ‘제주도의 환경보전분담금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란 질문에 참여자의 10명 중 8(82.6%)반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찬성한다고 응답한 참여자는 17.3%에 그쳤는데요.

 

제주도의 환경보전분담금제도는 일종의 환경비용을 뜻합니다. 제주도를 찾는 모든 사람이 환경보전분담금을 지불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복구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환경오염의 원인인 제주도 방문객이 책임을 지는, ‘원인자부담원칙입니다.

 

대부분의 폴앤톡 참여자들은 제주도 측의 환경보전분담금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습니다. 참여자 A 그렇다면 제주도 사람들이 육지로 오면 반대로 육지세를 물려야 한다고 이야기했으며, 참여자 B관광수입으로 쓰레기 해결하고 복지하면 되는 것을, 안 그래도 바가지 요금도 심하다고 전했습니다.

 

환경보전분담금을 받는 기준이 이해되지 않을뿐더러, 그렇게 마련한 재원이 환경 보전에 효과적으로 사용될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두 번째로, ‘환경보전분담금제도가 도입되면 제주도 관광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나요?’라고 묻자, 참여자의 71.1%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관광객 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깨끗한 환경이 조성되어 관광객 수가 증가할 것이란 참여자는 23.7%였으며, ‘변화가 없을 것이다고 이야기한 참여자는 6.1%로 드러났습니다.

 



 
세 번째로 제주도 환경보전분담금제도가 지역간 형평성을 무너뜨린다고 생각하나요?’란 질문에 참여자 59.7%매우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그 다음으론 그렇다22.6%, ‘전혀 그렇지 않다11.3%,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2%, ‘잘 모르겠다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환경보전부담금, 즉 입도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 묻자, 참여자의 78.3%많다고 생각한다고 전했습니다. ‘적정하다고 생각한다적다고 생각한다는 참여자는 각각 13.4%, 6.1%에 그쳤으며, ‘잘 모르겠다는 참여자는 2%로 나타났습니다.

 

20234월 기준, 제주도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2로 전년동월비 3.2% 올랐습니다. 4월 제주도 소비자물가지수는 강원(112.26), 충북(111.71), 충남(111.68), 경북(111.65)와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지난해엔 제주도의 높은 물가로 인해 제주도보다 일본 등 해외여행을 고려하는 관광객도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는데요.

 

방문객으로부터 재원을 마련해 제주도의 환경을 보전하겠다는 환경보전분담금제도의 취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만, 문제는 제주도가 국내인들에게 있어서 갖는 의미입니다. 제주도는 신혼여행부터 가족여행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소 중 한 곳입니다.

 

제주도의 물가도 부담스러운데, 환경보전분담금제도까지 더해진다면 관광객 입장에선 자연스레 제주도 여행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 참여자는 입도세를 낼 테니, (제주도의) 물가관리하고 바가지 좀 없애 달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만큼 제주도에서 겪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필요한 건 보다 유연한 정책 입안이 아닐까 싶습니다. 한 참여자는 다른 나라도 그렇던데, 내국인은 무료, 입도세는 외국인한테만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1인당 하루에 8,000원에 달하는 환경보전분담금의 액수부터, 부과 기준까지 폭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

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

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

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

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

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

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