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日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두고 신경전 팽팽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날 선 비판 오간 中∙日
▷日, 7월 대중 수산물 수출액 23.2% 급감
(출처=일본 총리실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를 두고 일본과 중국이 충돌했습니다.
7일 NHK, 닛케이 등
일본 외신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전날(6일) 한중일 3개국와의 정상회의에 앞서 개별적으로 만나 15분간 대화를 나눴습니다.
이 자리에서 기시다 총리는 리 총리에게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일본의 입장을 전하고, 이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한중일이 함께한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는 기시다 총리와 리 총리 간의 날 선 발언이 오갔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높은 투명성을 갖고 국제사회에 정중하게 설명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어 오염수 해양 방류를 계기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금지한 중국의 조치에 대해 “돌출 행동”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리 총리는 일본 정부가 ‘처리수’라고 부르는 물을 ‘핵오염수’라고
지칭하며 해양 생태환경과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끼친다면서 “주변국, 이해 관계자와 (오염수 방류를) 충분히
협의해 책임감 있게 대응해야 한다”며 맞섰습니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24일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 데 이어
같은 달 31일에는 WTO에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금지
사실을 통보했습니다. 중국은 WTO 통지문에 “공중의 생명과 건강을 효과적으로 지키고 위험을 완전하게 억제하기 위한 긴급조치”라며
“(오염수 방류는) 공중의 건강과 식품의 안전에
통제 불가능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비판했습니다.
한편 일본이 7월 중국에 수출한 수산물 총액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3.2% 줄어든 77억엔(69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대중국 수산물 수출액이 감소한 것은 2021년
1월 이후 2년 6개월
만입니다.
교도통신은 이번 일본의 대중 수산물 수출액 급감의 원인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중국이 7월부터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방사성 물질 검사를 강화한 것 때문이라고 봤습니다.
아울러 일본이 7월 홍콩에 수출한 수산물 총액도 작년 같은 달 대비
11.0% 감소했습니다. 중국과 홍콩은 일본 수산물의 세계
최대 수입국으로 일본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4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