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중국 금수조치로 일본 어업계 타격 심화...EU가 해결책 될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중국 반발로 먹구름 낀 일본 어업계
▷중국에 이어 홍콩도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강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일본 어업계에 드리운 먹구름은 한동안 걷히기 어려울 전망입니다.
31일 도요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반발해 지난 24일부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지했습니다.
일본 농림수산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 수산물의 최대 수출국으로 지난해 중국에 대한 수산물 수출액은 871억엔에 이릅니다. 2위는 홍콩으로 같은 기간 수산물 수출액 755억엔을 기록했습니다.
중국에 이어 홍콩도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대상 지역을 5개에서
10개로 늘리면서 일본 수산업계의 타격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중국의 수산물 수입 중단으로 인한 일본 수산업자의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신규 수출처 모색에
나섰지만, 이 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한편 최근 유럽연합(EU)이 일본 수산물 수입 제한을 철폐하면서 중국과
홍콩을 대신할 신규 수출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EU 기준의 식품위생관리인증(HACCP) 획득 조건이 까다롭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요게이자이신문은 “EU로부터 수산물의 수입이 용이하더라도, 수출을 위해선 EU 기준의 식품위생관리인증 ‘HACCP’를 취득한 시설이어야 한다”며 “EU HACCP 인가는 굉장히 엄격한 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일본 수산청이 발간한 수산백서에 따르면 EU HACCP 인가
시설수는 2022년 기준 110곳으로 5년 전인 2017년(56곳)과 비교했을 때 약 2배 증가한 데 그쳤습니다.
일각에서는 한국을 신규 수출처로 공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
내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어 뚜렷한 해책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