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중국 금수조치로 일본 어업계 타격 심화...EU가 해결책 될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중국 반발로 먹구름 낀 일본 어업계
▷중국에 이어 홍콩도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강화

입력 : 2023.08.31 13:30 수정 : 2023.08.31 13:41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일본 어업계에 드리운 먹구름은 한동안 걷히기 어려울 전망입니다.

 

31일 도요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반발해 지난 24일부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지했습니다.

 

일본 농림수산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 수산물의 최대 수출국으로 지난해 중국에 대한 수산물 수출액은 871억엔에 이릅니다. 2위는 홍콩으로 같은 기간 수산물 수출액 755억엔을 기록했습니다. 

 

중국에 이어 홍콩도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대상 지역을 5개에서 10개로 늘리면서 일본 수산업계의 타격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중국의 수산물 수입 중단으로 인한 일본 수산업자의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신규 수출처 모색에 나섰지만, 이 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한편 최근 유럽연합(EU)이 일본 수산물 수입 제한을 철폐하면서 중국과 홍콩을 대신할 신규 수출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EU 기준의 식품위생관리인증(HACCP) 획득 조건이 까다롭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요게이자이신문은 “EU로부터 수산물의 수입이 용이하더라도, 수출을 위해선 EU 기준의 식품위생관리인증 ‘HACCP’를 취득한 시설이어야 한다“EU HACCP 인가는 굉장히 엄격한 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일본 수산청이 발간한 수산백서에 따르면 EU HACCP 인가 시설수는 2022년 기준 110곳으로 5년 전인 2017(56)과 비교했을 때 약 2배 증가한 데 그쳤습니다.

 

일각에서는 한국을 신규 수출처로 공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 내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어 뚜렷한 해책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