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美 기준금리 0.5% 인상... FOMC, "인플레이션에 많은 신경 쏟고 있어"
▷ FOMC, 미국 경제 상황 다소 긍정적으로 진단... "완만한 속도로 활발해지고 있어"
▷ CNN, "제롬 파월 FOMC 의장, 경기 침체 예상하지 않아"
![[외신] 美 기준금리 0.5% 인상... FOMC, "인플레이션에 많은 신경 쏟고 있어"](/upload/03a36c18a32a4e75b98bdc65badc4b0d.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현지시각으로 지난 26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OMC)가 기준금리를 0.5% 인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5.50%로 우리나라(3.50%)와 차이가 2% 정도 벌어졌는데요.
FOMC는 최근 견조세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의 노동시장을 바탕으로 “경제 활동이 완만한 속도로 활발해지고 있다”(”economic activity has been expanding at a moderate pace”)며 긍정적으로 판단하면서도,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FOMC 曰 “미국의 금융시장은 흠이 없고 탄력적이다. 가계와 기업에 대한 타이트한 신용 조건은 경제 활동 및 고용,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수 있다. ... 위원회는 인플레이션 위험에 많은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 (”Tighter credit conditions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are likely to weigh on economic activity, hiring, and inflation. ... The Committee remains highly attentive to inflation risks”)
FOMC는 인플레이션 2%대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정 긴축 기조를 운용하겠다는 입장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FOMC는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기 위해 “강력히 약속”(”strongly committed”)한 바 있으며, 이를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한 건데요.
FOMC는 현재 자신들이 운용하고 있는 통화 정책의 기조를 바꿀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다며, 향후 나타나는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를 광범위하게 검토하여 결정하겠다고 전했습니다.
CNN은 FOMC가 금리를 인상한 이후, 제롬 파월 의장이 염두에 두고 있는 세 가지 경제적 시사점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이들 보도에 따르면, 먼저 파월 의장은 “경기침체를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A recession isn’t in the cards for now”) 지난 26일, 파월 의장은 “최근의 경제 회복력을 감안할 때, FOMC 임원들은 더 이상 경기 침체를 전망하고 있지 않다”(“given the resilience of the economy recently [Fed staffers] are no longer forecasting a recession”)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는 FOMC가 기준금리를 인상해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경제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실업률에 악영향을 끼쳐 경제 침체를 불러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줄어들고, 투자와 소비가 경색되면서 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지난해, FOMC를 포함한 다수의 경제학자는 경기 침체를 예상했습니다.
FOMC의 위원들은 “올해 말부터 경제 성장이 눈에 띄게 둔화”(“a noticeable slowdown in growth starting later this year”)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는데요. 그러나 파월 의장의 생각은 다른 듯합니다. 그 배경으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미국의 실업률이 있는 듯합니다.
두 번째로, CNN은 “금리 인하의 시기는 아직 미지수”(”Still no inklings of when to expect a rate cut”)라고 설명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올해 안으로는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다만, 금리를 둘러싼 경제적인 상황이 상당히 불확실하기에 그 시기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FOMC의 목표가 달성되는 상황 하에서, 그나마 내년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됩니다.
마지막 시사점은 “GDP와 소비 데이터가 FOMC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GDP and spending data are informing the Fed’s decisions”)는 겁니다.
CNN에 따르면, FOMC는 금리 인상의 주요 원인인 인플레이션 데이터 외의 경제적인 지표도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특히, GDP와 소비 데이터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데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데요.
미국의 소비 데이터의 경우, 지난달보다는 속도가 둔화되었으나 증가세는 여전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1분기 GDP 데이터는 침체의 위험속에서도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더욱이, 파월 의장은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을 미국의 금융시스템이 수습한 상황을 보고선 “지난 3월의 사건 이후 세 번째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to go ahead and raise interest rates now for the third time since the March events”)고 이야기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