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1주일도 안된 스레드에 소송 예고하며 견제나선 트위터
▷스레드 출시 후 16시간 만에 가입자 3천만명 돌파
▷트위터, “스레드에 지식재산권 침해 소송 나설 것”

(출처=인스타그램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트위터의 대항마로 불리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새로운 소셜미디어(SNS) ‘스레드(Threads)’가 엄청난 인기를 끌며, 출시 16시간만에 가입자 수 3천만명을 돌파했습니다. 하지만 트위터는 지식재산권 침해를 이유로 스레드에 법적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지난 6일(현지시간)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트위터의 사내 변호사인 알레스 스피로는 메타 측에 트위터의 지식재산권을 불법적으로
사용했다는 이유로 경고 서한을 보냈습니다.
서한에서 스피로 변호사는 “메타는 스레드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트위터 지식재산권을 불법 사용했다”며 “트위터에 적을 뒀던 직원들을 고용하고, 이들에게 스레드 업무를 고의로
할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스피로 변호사는 “이는 주∙연방법뿐만
아니라, 트위터에 대한 직원 의무를 위반한 행위”라며
“메타가 트위터 영업 비밀과 기타 극비 정보 사용을 중단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린다 야카리노 트위터 최고경영자도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우리는
종종 모방되기도 하지만, 트위터 커뮤니티는 결코 복제될 수 없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습니다.
야카리노 CEO는 스레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트위터와 유사한 기능을 탑재한 스레드에 대해 불편한 심경을 내비친 것으로 유추됩니다.
스레드는 트위터처럼 텍스트를 기반으로 온라인상에 짧은 글을 올려 소통하는 ‘마이크로블로그’형 소셜미디어 앱입니다.
스레드는 하나의 게시물당 500자까지 지원되며, 사진과 함께 최대 5분 분량의 동영상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트위터와 달리 해시태그와 일대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DM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PC용 웹사이트가 없어 스마트폰에서 앱을 다운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7일 오후 2시 30분 기준 스레드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 앱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유명인들의 스레드 행도 잇달아 확인되고 있는데, 트위터에서 6천290만명의 팔로위를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 4천220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 등 스레드 계정을 개설했습니다.
한편 스레드의 인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메타 CEO인 마크 저커버그는 지난 6일 11년 만에 트위터에 ‘넌 야’라고 따지는 뜻으로 통용되는 이른바 ‘가짜 스파이더맨’ 밈을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현지언론에서는 저커버그가 머스크를
겨냥한 도발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면 머스크는 스레드 출시 이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어 향후 머스크가 어떤 행동을 취할지에
대해 누리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