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서울아파트 갈아타기 늘어...이유는?

▷10건 중 절반이상이 신규계약
▷전셋값 하락·금리 안정에 이동 수요 증가
▷서울 아파트 노후화 심화...새 아파트 수요 증가 전망

입력 : 2023.07.03 13:29 수정 : 2023.07.03 13:40
서울아파트 갈아타기 늘어...이유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에서 지난해와 비교해 신규 계약은 크게 늘고, 갱신 계약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년 전보다 전셋값이 크게 하락한 데다, 최근 시중은행의 대출 이자가 안전되면서 임차인의 갈아타기 이동 수요가 증가한 겁입니다.

 

3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계약된 서울 아파트 12만8821건의 전월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신규 계약 건수는 총 7만3289건으로 전체의 56.9%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신규 계약이 상반기 47.0%, 하반기 46.2% 등 절반을 밑돌던 것과 비교해 10%p 가까이 높아진 것입니다. 그에 비해 갱신 계약의 비중은 올해 상반기 24.8%로 작년 상반기 32.5%와 하반기 33%에 비해 낮아졌습니다. 신규·갱신 기재없이 신고된 거래는 작년 상·하반기 각각 20.4%, 올해 상반기는 18.2%였습니다.

 

이 가운데 월세는 신규 계약이 지난해 하반기 53.5%에서 올해 상반기 58.1%로 4.6%p 증가한 데 비해, 전세는 40.9%에서 56.1%로 15.2%p 늘어나 전세의 신규 거래가 특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전세를 중심으로 신규 계약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2년 전보다 전셋값이 크게 하락한 영향이 큽니다. 또 지난해 최고 6%대에 이르던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올해 연 3∼4%대로 하향 안정세를 보이면서 대출을 통해 거주지를 옮기려는 임차인 이동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다.

 

지난해 하반기 54.5%였던 서울 아파트 전세계약 비중은 올해 1분기 58.1%로 늘어난 데 이어 2분기에는 60%로 증가했습니다.

 

향후 서울 아파트 노후화 심화로 새 아파트로 갈아타려는 수요는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임대 제외) 166만3238가구 중 입주한지 10년 이상 된 노후 단지는 약 82.01%(136만4003가구)에 달합니다.

 

이는 전국 평균 노후 비율 75.13%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10가구 중 8가구가 입주 10년 이상의 노후 아파트인 셈입니다. 반면, 입주한 지 5년 이하 새 아파트 비율은 약 8.99%(14만9580가구)에 불과합니다.

 

서울 내 신축 부족이 이어지자 새 아파트와 구축 간 가격 차이는 크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5월 기준 서울 준공 5년 이내 신축과 10년 이상 구축의 가구당 평균 가격 차이는 2억8763만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5년 전인 2018년 5월 1억503만 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준입니다.

 

익명을 요구한 중개업자 대표는 "전셋값이 하락하고 금리가 안정되면서 서울 내 아파트 전월세 계약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서울 아파트 노후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만큼 연내 분양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