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속도 붙는 탈달러화?... 버핏, "달러 대체할 기축 통화 없다"

▷ 러시아, 탈달러화에 적극적... 중국,이란, 사우디 등도 호응
▷ 워렌 버핏, "달러는 기축 통화, 대체 가능 통화 없다고 봐"

입력 : 2023.05.15 17:00 수정 : 2023.05.15 17:13
속도 붙는 탈달러화?... 버핏, "달러 대체할 기축 통화 없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소련이 해체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가던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미국을 포함 미국에 비교적 친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 일본, 유럽 등 서방 진영과 미국에 우호적이지 않은 러시아, 중국 등이 날카로운 대립 각을 형성한 상황인데요.

 

이른바 제2냉전’, 양측은 다방면에서 잦은 마찰을 겪고 있는데요특히, 경제 분야에서 서방과 러시아/중국 간의 갈등은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세계 각국은 각자의 방식으로 해결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는데요. 그 결과, 자연스레 자국 산업보호주의와 기술패권에 대한 경쟁이 심화하고, 공급망이 활발하게 재편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글로벌 경제의 기본 단위, 세계 기축통화(通貨)인 달러의 지배구조에도 균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퇴출된 러시아가 탈달러 움직임에 속도를 내면서 중/러 교역에서 위안화/루블화 결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러 우호국 중심으로 탈달러화 행보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SWIFT: 세계은행간금융데이터통신협회(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국제적인 은행데이터통신망을 구축해 놓아, 글로벌 금융업무를 맡고 있다

 

사실 러시아는 지난 2014년부터 탈달러화를 꾀하고 있었고 이 움직임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강화되었습니다. 러시아는 달러를 배제하고 루블화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202241,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가스대금을 루블화로만 받겠다고 선언한 바 있는데요. 이에 따라 러시아와 가스를 거래하려는 비우호국은 러 가즈프롬은행(Gazprombank)의 특별계좌를 이용해 루블화를 직접 입금해야 합니다.

 

달러, 유로화로 가스대금을 지불하려면 자동으로 루블화로 환전되게끔 조건을 맞추어야 합니다.

 

아울러 러시아는 美 달러의 독점적인 지위를 약화하기 위해 중국과 이란을 포섭했습니다. 이들과 경제블록을 형성하고, 탈달러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국제 금융질서를 재편하기 위해선데요.

 

러시아에 우호적인 중국, 이란 등은 러시아의 탈달러화에 호응했습니다만, 눈에 띄는 건 사우디아라비아입니다. 원유 생산량을 놓고 미국과 갈등을 빚은 사우디는 탈달러화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20233, 중국수출입은행은 사우디 국영은행에 무역대금 결제용 위안화 대출을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달러 대신 중국의 위안화로도 원유를 거래하겠다는 뜻입니다.

 

이처럼, 러시아가 루블화뿐만 아니라 막대한 금 보유량을 토대로 우호국과 금본위제공동통화를 창설하려 하는 등 탈달러화 움직임 가속화되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 세계적인 투자자로 유명한 워렌 버핏(Warren Buffett)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달러 중심의 글로벌 통화 구조가 무너질 일은 없을 것이라 선을 그었습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8,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 한 10대 소녀가 워렌 버핏에게 탈달러화에 관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는 이미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같은 세계의 주요 경제국들이 이것(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엄청난 규모의 달러화 발행)을 예상하여 달러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Already other major economies in the world such as China, Saudi Arabia, and Brazil, are moving away from the dollar in anticipation of this”),내 질문은 달러가 더 이상 글로벌 기축 통화가 아닌 시점을 우리가 미래에 마주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다”(“My question is, are we likely to face a time in the future when the US dollar is no longer the global reserve currency?")라고 물었는데요. , 세계 정세의 흐름 상 달러가 현재의 공고한 지위를 잃어버릴 수 있느냐는 질문입니다.

 

이에 워렌 버핏은 달러는 기축통화다. 나는 달러를 대체할 다른 통화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We are the reserve currency. I see no option for any other currency to be the reserve currency")고 답변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재정 정책을 직접적으로 통제하고 있진 않지만, 그만큼 경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모든 병설에 특수학급을 신설해서 특수교사의 지원을 확대해야합니다. 교육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끝나면 치료지원비를 전부 부모에 주어서(현재는 15만원! 치료 1개도 지원 못받은 금액) 가정의 부담을 줄이고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몸과 마음이 아픈 아이들이 전문교육을 받지 못하고 급하게 양성과정에서 수료하고 온 교사이 잘못된 교육의 방향으로 지도해 고착화될까봐 걱정입니다. 현장에서 수없이 수업을 연구하고 아이들의 IEP를 두고 고민하며 협력하는 교사들의 수고가 헛될까봐 그것도 걱정입니다. 학점을 이수했다고 모두 특수교사가 아닙니다. 수업을 들으며 연구하고 의논하고 실습하고 배우고 적용한 시간들을 절대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2

대체 어떤 생각인지 모르겠습니다. 제대로 된 조사를 하고 계획이 작성된걸까요? 하나하나 특수교육대상영유아에 대한 고려는 단 하나도 없습니다. 세계 최고의 유보통합이 가당키나 한 말인가요? 모두를 위한 교육을 외치는 교육부의 로고와는 전혀 다른 교육의 흐름과 방향입니다

3

영아와 유아는 발달상 굉장히 큰 차이가 있습니다. 같은 기관에서 통합적으로 교육? 교육이 될까요? 돌봄과 교육을 철저히 구분해야 합니다. 돌봄이 필요한 영아, 요즘 아이들 굉장히 인지적으로 발달해서 유아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한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는 양성체계가 너무 부실하고.. 4년제 이상에 실습과 교생실습까지 마친 교사와는 비교할수도 없습니다. 유아교육 이렇게 무시하면, 나라가 어떻게 될까요 어릴수록 교육의 중요성이 더 큰데 이렇게 돌봄만을 좋아하니 정말 큰일입니다.

4

유보통합을 한다면서 장애전담어린이집을 80개 늘린다는게 앞뒤가 맞는 정책인가요?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을 위한다면 의무교육을 제대로 된 시행을 위해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을 증설해야 하는게 올바른 방향이 아닌가요? 현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는 몇 안되는 유아특수교사들이 근무하고 있는데, 어린이집 장애영유아까지 포함시킨다면 그 업무들은 누가 하나요? 또한 특수교육과 관련된 지원서비스 예산은 유보통합을 진행하면서 다 파악되고 예산에 포함이 되었나요? 정말 하나부터 열까지 너무 허술하고 현장을 제대로 들여다보지 않은 정책입니다. 2026년도까지 어떻게든 유보통합을 시키는 정부의 보여주기식 실적쌓기가 아니라 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질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대로 정책을 만드세요!

5

2/매년 80학급, 장애전문·통합 어린이집은 매년 80개소를 신설할 계획-학급과 소의 규모가 다름. 특수교육대상유아는 의무교육 대상자임. 국가가 의무교육을 할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국공립 교육기관 수가 사립보다는 많아야 한다고 생각함. 우리 집 앞 유치원에 보내고 싶을 때 보낼 수 있어야 함. 초등의 경우 대규모아파트 단지 만들 때도 학교를 지으려 노력함. 같은 의무교육대상자인 만큼, 국공립 교육기관 설립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함. 이에 대한 답변 받고 싶음. 의무교육을 실시했다고 인정함 으로 퉁치지 않기를 바람. 3/장애영유아 보육교사는 대학, 대학원에 신, 편입학을 통해 양성과정을 졸업하면 개편 자격을 취득-당장 어떻게 할 것인지 의문임. 지금 대학/대학원 다니는 사람은 ”이수할 거니까 일 계속해“가 될 것인지? 또한 이 부분에 대한 특별 지원금 제공 등으로 자발적으로 공부한 사람들에게 역차별되지 않기를 바람.

6

어린이집을 신설할 것이 아니라 특수학급을 늘리고 유아특수교사 임용 티오를 늘리면 됩니다. 현재도 필요한 인원에 전혀 미치지도 못하는 수의 교사들만이 임용 바늘 티오를 뚫고 들어가고, 노량진과 대학교, 도서관에는 그 임용을 통과하려는 예비교사들이 오늘도 더위에 땀띠나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저도 과거 어린이집에서 유아특수교사로서 근무했었고 제 동료는 전부 장애영유아보육교사였습니다. IEP, 개별화, PBS, 심지어 법적인 장애유형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다운증후군이 어느 장애에 해당하는지도 모르는 친구들이었어요. 그들을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들에게 전해듣기를 정말 온라인강의로 과목 8개 듣고 시험은 오픈북, 그냥 인터넷 긁어다가 과제만 제출하면 되었답니다. 전문적 지식이 전무해도 그냥 '이수'하는 걸로도 가능했답니다. 유보통합이 되면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8조 3항, 시행령 제 25조, 시행규칙 제5조에 근거해서 장애영유아보육교사들이 특수교육지원인력으로 장애아 보육일을 하시면서 필요시 특수교사의 지도하에 교육 지원을 하면 되는 일입니다. 간호조무사가 간호사의 지시에 따라 병원의 지원인력으로 근무하는 것처럼요. 그럼에도 특수교사 자격증이 필요하시면 이미 열려있는 대학교, 대학원의 양성과정을 이용하시면 되고요. 제 주변에는 유아특수교사가 되기 위해서 부족한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서 만학도로 특수교육과에 재입학하여 임용을 통과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교육받을 시간이 없네, 방법이 없네는 핑계일 뿐입니다. 잘못된 결론을 정해놓고 잘못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전국에 보육교사들을 위해 대학교에 없던 특수교육과를 만들어내려고 하는 게 말이 됩니까? 절대 반대합니다. 그리고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선정하고 배치하는 것에는 인력을 어떻게 얼마나 충원하고 업무를 어떻게 분담하려고 하십니까? 한 아이를 배치하고 교육을 지원하는 일에 있어서 진단평가와 선정, 배치 업무 뿐만 아니라 원거리통학비, 기타 치료지원, 가족지원 등의 늘어나는 예산과 업무는 어떻게 지원하실 건가요? 심지어 진단평가의 첫 작업부터 시작해서 통학비 등 유아를 지원함에 있어서 한 명 한 명의 아이들을 직접 대면하여 실사를 진행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그 많은 범위와 수는 어떻게 감당하실는지요? 깊이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7

의무교육대상자인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언급이 구체적이지 않고, 모호한 용어와 설명들로 계획되어 있어 매우 유감스럽습니다. 행정을 담당하게 될 체제개편에서도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어떤 예산을 어느 부서에서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야마로 반쪽, 아니 탁상행정이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하는 정책입니다. 영유아의 교육은 우리의 미래입니다. *교사자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합니다. *유보통합으로 교육부로 이동하게 되는 장애영유아의 행정, 기존의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행정을 담당하여야 할 전문 인력(전공자 배치) 확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합니다. *특수교육대상영유아 및 장애영유아에게 지원되는 재정(예산)에 대한 확실한 언급,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합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배치유형(어린이집)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합니다. *장애어린이집 80개소 신설, 특수학급 80학급 신설이 과연 동일한 선상의 일인지 묻고 싶습니다. 유아특수교육의 전문성과 공공성 확립 없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유보통합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잊지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