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속도 붙는 탈달러화?... 버핏, "달러 대체할 기축 통화 없다"

▷ 러시아, 탈달러화에 적극적... 중국,이란, 사우디 등도 호응
▷ 워렌 버핏, "달러는 기축 통화, 대체 가능 통화 없다고 봐"

입력 : 2023.05.15 17:00 수정 : 2023.05.15 17:13
속도 붙는 탈달러화?... 버핏, "달러 대체할 기축 통화 없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소련이 해체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가던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미국을 포함 미국에 비교적 친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 일본, 유럽 등 서방 진영과 미국에 우호적이지 않은 러시아, 중국 등이 날카로운 대립 각을 형성한 상황인데요.

 

이른바 제2냉전’, 양측은 다방면에서 잦은 마찰을 겪고 있는데요특히, 경제 분야에서 서방과 러시아/중국 간의 갈등은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세계 각국은 각자의 방식으로 해결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는데요. 그 결과, 자연스레 자국 산업보호주의와 기술패권에 대한 경쟁이 심화하고, 공급망이 활발하게 재편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글로벌 경제의 기본 단위, 세계 기축통화(通貨)인 달러의 지배구조에도 균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퇴출된 러시아가 탈달러 움직임에 속도를 내면서 중/러 교역에서 위안화/루블화 결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러 우호국 중심으로 탈달러화 행보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SWIFT: 세계은행간금융데이터통신협회(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국제적인 은행데이터통신망을 구축해 놓아, 글로벌 금융업무를 맡고 있다

 

사실 러시아는 지난 2014년부터 탈달러화를 꾀하고 있었고 이 움직임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강화되었습니다. 러시아는 달러를 배제하고 루블화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202241,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가스대금을 루블화로만 받겠다고 선언한 바 있는데요. 이에 따라 러시아와 가스를 거래하려는 비우호국은 러 가즈프롬은행(Gazprombank)의 특별계좌를 이용해 루블화를 직접 입금해야 합니다.

 

달러, 유로화로 가스대금을 지불하려면 자동으로 루블화로 환전되게끔 조건을 맞추어야 합니다.

 

아울러 러시아는 美 달러의 독점적인 지위를 약화하기 위해 중국과 이란을 포섭했습니다. 이들과 경제블록을 형성하고, 탈달러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국제 금융질서를 재편하기 위해선데요.

 

러시아에 우호적인 중국, 이란 등은 러시아의 탈달러화에 호응했습니다만, 눈에 띄는 건 사우디아라비아입니다. 원유 생산량을 놓고 미국과 갈등을 빚은 사우디는 탈달러화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20233, 중국수출입은행은 사우디 국영은행에 무역대금 결제용 위안화 대출을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달러 대신 중국의 위안화로도 원유를 거래하겠다는 뜻입니다.

 

이처럼, 러시아가 루블화뿐만 아니라 막대한 금 보유량을 토대로 우호국과 금본위제공동통화를 창설하려 하는 등 탈달러화 움직임 가속화되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 세계적인 투자자로 유명한 워렌 버핏(Warren Buffett)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달러 중심의 글로벌 통화 구조가 무너질 일은 없을 것이라 선을 그었습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8,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 한 10대 소녀가 워렌 버핏에게 탈달러화에 관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는 이미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같은 세계의 주요 경제국들이 이것(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엄청난 규모의 달러화 발행)을 예상하여 달러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Already other major economies in the world such as China, Saudi Arabia, and Brazil, are moving away from the dollar in anticipation of this”),내 질문은 달러가 더 이상 글로벌 기축 통화가 아닌 시점을 우리가 미래에 마주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다”(“My question is, are we likely to face a time in the future when the US dollar is no longer the global reserve currency?")라고 물었는데요. , 세계 정세의 흐름 상 달러가 현재의 공고한 지위를 잃어버릴 수 있느냐는 질문입니다.

 

이에 워렌 버핏은 달러는 기축통화다. 나는 달러를 대체할 다른 통화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We are the reserve currency. I see no option for any other currency to be the reserve currency")고 답변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재정 정책을 직접적으로 통제하고 있진 않지만, 그만큼 경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

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

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

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

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