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붙는 탈달러화?... 버핏, "달러 대체할 기축 통화 없다"
▷ 러시아, 탈달러화에 적극적... 중국,이란, 사우디 등도 호응
▷ 워렌 버핏, "달러는 기축 통화, 대체 가능 통화 없다고 봐"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소련이 해체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가던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미국을 포함 미국에 비교적 친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 일본, 유럽 등 서방 진영과 미국에 우호적이지 않은 러시아, 중국 등이 날카로운 대립 각을 형성한 상황인데요.
이른바 제2의 ‘냉전’, 양측은 다방면에서 잦은 마찰을 겪고 있는데요. 특히, 경제 분야에서 서방과 러시아/중국 간의 갈등은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세계 각국은 각자의 방식으로 해결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는데요. 그 결과, 자연스레 자국 산업보호주의와 기술패권에 대한 경쟁이 심화하고, 공급망이 활발하게 재편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글로벌 경제의 기본 단위, 세계 기축통화(通貨)인 달러의 지배구조에도 균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퇴출된 러시아가 탈달러 움직임에 속도를 내면서 중/러 교역에서 위안화/루블화 결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며, “중-러 우호국 중심으로 탈달러화 행보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SWIFT: 세계은행간금융데이터통신협회(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국제적인
은행데이터통신망을 구축해 놓아, 글로벌 금융업무를 맡고 있다
사실 러시아는 지난 2014년부터 탈달러화를 꾀하고 있었고 이 움직임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강화되었습니다. 러시아는 달러를 배제하고 루블화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2022년 4월 1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가스대금을 루블화로만 받겠다고 선언한 바 있는데요. 이에 따라 러시아와 가스를 거래하려는 비우호국은 러 가즈프롬은행(Gazprombank)의 특별계좌를 이용해 루블화를 직접 입금해야 합니다.
달러, 유로화로 가스대금을 지불하려면 자동으로 루블화로 환전되게끔
조건을 맞추어야 합니다.
아울러 러시아는 美 달러의 독점적인 지위를 약화하기 위해 중국과 이란을 포섭했습니다. 이들과 경제블록을 형성하고, 탈달러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국제 금융질서를 재편하기 위해선데요.
러시아에 우호적인 중국, 이란 등은 러시아의 탈달러화에 호응했습니다만, 눈에 띄는 건 사우디아라비아입니다. 원유 생산량을 놓고 미국과 갈등을 빚은 사우디는 탈달러화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3월, 중국수출입은행은 사우디 국영은행에 무역대금 결제용 위안화 대출을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달러 대신 중국의 위안화로도 원유를 거래하겠다는 뜻입니다.
이처럼, 러시아가 루블화뿐만 아니라 막대한 금 보유량을 토대로 우호국과 ‘금본위제’ 공동통화를 창설하려 하는 등 탈달러화 움직임 가속화되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 세계적인 투자자로 유명한 워렌 버핏(Warren Buffett)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달러 중심의 글로벌 통화 구조가 무너질 일은 없을 것이라 선을 그었습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8일,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 한 10대 소녀가 워렌 버핏에게 탈달러화에 관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는 “이미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같은 세계의 주요 경제국들이 이것(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엄청난
규모의 달러화 발행)을 예상하여 달러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Already
other major economies in the world such as China, Saudi Arabia, and Brazil, are
moving away from the dollar in anticipation of this”)며,
“내 질문은 달러가 더 이상 글로벌 기축 통화가 아닌 시점을 우리가 미래에 마주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다”(“My question is, are we likely to face a time in the future when
the US dollar is no longer the global reserve currency?")라고 물었는데요. 즉, 세계 정세의 흐름 상 달러가 현재의 공고한 지위를 잃어버릴
수 있느냐는 질문입니다.
이에 워렌 버핏은 “달러는 기축통화다. 나는 달러를 대체할 다른 통화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We are the reserve currency. I see no option for any other currency to be the reserve currency")고 답변했습니다.
그러면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재정 정책을 직접적으로 통제하고 있진 않지만, 그만큼 경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