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한일 정상회담 국정조사 추진에…비판 나선 전 주한 일본대사
▷일본 매체를 통해 한국 야당 비판한 무토 마사토시 전 주한 일본대사
▷강제징용 문제는 문정권의 무관심이 원인
▷한일 관계개선을 위해 일본 정부가 윤정권에 대한 지원이 필요
![[외신] 한일 정상회담 국정조사 추진에…비판 나선 전 주한 일본대사](/upload/96744e34e9e543ab8ed4f15859de17cf.jpg)
무토 전 대사는 6일(현지시각) 일본의 보수성향 경제주간지 ‘재팬비즈니스프레스’(JBpress)에서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국정조사를 요구했다”면서 “한일
정상회담 평가를 둘러싸고 한국 내 정계∙여론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민주당이 항의집회 개최 등에서 보여왔던 윤정권을 향한 비판적인 논조를 국회로까지 끌고들어와 본격적인
투쟁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무토 전 대사는 “민주당은 한일 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해
‘친일을 넘어 숭일’, ‘외교참사’ 등이라고 비판하고 있으며, 당대표인 이재명 대표는 “윤 대통령은 결국 일본의 하수인이 되는 길을 선택했다”,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죄나 반성은 전무했고, 정부가 공언했던 일본의 대응조치 언급조차 없었다”는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무토 전 대사는 “강제징용 문제는 문재인 정권이
갈등의 불씨를 키웠고 해결의 노력조차 기울이지 않고 방치해 왔다”면서“(문정권의 무관심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불러왔고, 한∙미∙일 협력이 약화와 중대한 국익 손실을 불러왔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이번 국정조사에서 따져야 할 것은 오히려 문정권의 무책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무토 전 대사는 "문 전 대통령에 대해 국제법을 무시하고 강제징용 문제를 한일 간 최대 쟁점으로 만든 역사의 결석자인 동시에 역사를 자기 마음대로 조작한 파괴자"라고 평가하면서 "윤 대통령이 한일관계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방해하는 민주당과 그 지지자들의 행위는 '선동정치'라고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 정권에 대해서는 전 정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무토
전 대사는 “문정권은 북한 주민에 대한 인권유린을 은폐해 한국 국민들이 김정은 정권의 잔학성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문정권의 죄를 적발하고 한국 국민이 혁신정권의 언행에 현혹되지 않고 북한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해 ‘문정권 이탈’을 촉구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또, 한국의 다음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일어날 경우, 한일관계가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일본 내에 산재해 있다면서 일본 국익을 위해 현 정부와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무토
전 대사는 “일본은 민주당의 선동정치에 현혹되지 말고 한일관계의 기본방향을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면서 “그 일환으로서
윤석열 정권이 추진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변혁이 성공할 수 있도록, 일본으로서도 측면 지원해 나가는
것이 일본의 국익”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