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무죄 주장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 美 백악관은 "노코멘트"
▷ 34개 중범죄 혐의... 트럼프 전 대통령 재판장으로
▷ 입막음하려 건넨 돈 은폐하려 선거법 위반 등
▷ 트럼프 전 대통령 반발... 백악관은 "노코멘트"
![[외신] 무죄 주장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 美 백악관은 "노코멘트"](/upload/b0a4c7ae4ee146239f7feb20aee0502e.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 현지시각으로 지난 4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판장에 섰습니다.
BBC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최초로 형사재판을 받는 전 대통령으로서 스토미 대니얼스(Stormy Daniels)라는 포르노 배우를 입막음하려 돈을 지불하는 등 34건의 중범죄 혐의를 갖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스토미 대니얼스에게 지급한 돈은 약 13만 불, 미국에서 한 사람을 침묵시키기 위해 대가성으로 돈을 주는 건 불법이 아닙니다만, 검찰 당국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후 행적을 문제 삼았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포르노 배우에게 돈을 주었다는 사실을 은폐하는 과정에서 영업 기록을 위조하고 선거법을 위반했다는 겁니다.
게다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돈을 준 사람은 스토미 대니얼스 한 명만이 아닙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 기소 후, 알빈 브렉(Alvin Bragg) 美 검사 曰 “모든 사람은 법 앞에서 평등하다. 당신이 누구든 검찰은 심각한 범죄 행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Everyone
stands equal under the law, No matter who you are, we will not normalise
serious criminal conduct.")
물론,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범죄 혐의를 모두 반박했습니다.
BBC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변호사들은 트럼프 본인이 기소
사실에 대해 큰 불만을 품고 있으며, 이를 “엄청난 불의”(“great injustice)로 믿고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출두한 법원에서 그의 지지자들이 모여 시위를 벌이는 등 미국 사회 내에서도 혼란이 생기는 가운데, 바이든 현 미국 대통령의 반응이 화제입니다.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위험을 주제로 열린 과학기술자문위원회 회의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소에 대해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바이든 대통령은 “답변하지 않겠다”(“No comment”)라며
일축했습니다. 백악관이 직접적인 답변을 피한 셈입니다.
이에 대해, 카린 장 피에르(Karine Jean-Pierre) 백악관 대변인은 “먼저 이야기해야 할 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소 사건이) 현재 진행 중인 사건이기 때문에, 우리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을 것이다”고 전했습니다. 현재 트럼프 전 대통령은 검찰로부터 기소를 당했을 뿐, 재판부로부터 유죄를 확정받은 상태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BBC 曰 “백악관은 지난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소) 이슈가 처음 나온 이후로, 거의 침묵을 지키고 있다. 백악관 대변인은 이전에 바이든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혐의를 몰랐다고 이야기했다.”(“The White House has been largely silent on the issue since news
of the indictment first broke last week. Ms Jean-Pierre previously said that Mr
Biden was not aware of the charges ahead of time.”)
이처럼 바이든 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는 데에는 정치적인 이유가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세력이 여전히 강성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미국 법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판을 오는 2024년 1월 경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BBC에 따르면, 2024년 1월은 미국 공화당이 대통령 후보자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시점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는 중요한 시기일 수도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