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고라] 유명강사의 정치 발언 어떻게 봐야 하나

찬성 36.36%

중립 18.18%

반대 45.45%

토론기간 : 2025.02.11 ~ 2025.03.04

 

[위고라] 유명강사의 정치 발언 어떻게 봐야 하나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씨가 지난 8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세이브코리아 주최 국가비상기도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유명 '일타강사'(일등 스타강사)가 대통령 탄핵관련해 자신의 정치적 주장을 밝히고 있는 가운데, 이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중립성 의무가 법적으로 규정된 교원들과 달리 강사는 정치견해를 내·외부에 피력하는 데 제한이 없다는 입장과 영향력이 큰 유명강사가 학생들에게 정치적 견해를 주입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주장이 부딪히고 있다.

 

한국사 스타강사로 유명한 전한길씨가 최근 거침없는 정치 발언을 이어가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부정선거 가능성을 언급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에 반대하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최근에는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기독교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주관한 윤 대통령 반대집회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60%를 넘게 되면 현재 진행 중인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심판은 즉시 100% 기각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만약 헌법재판소가 대통령을 탄핵시킨다면 민주주의의 역적이며 제2의 을사오적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혔다.

 

전 씨의 이러한 정치적 발언에 대해 누리꾼들의 의견은 갈린다. 한쪽에서는 "나도 학생 때 선생들이 정치 발언하는 거 싫었음. 생각 주입하는 듯", "강사나 선생은 정치적 견해 편향적으로 주장하면 안 됨"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교사도 사람인데 자신의 견해를 표현해도 된다", "로봇이 아닌 이상 수업할 때 개인 정치 견해가 조금이라도 있을 수밖에 없다", "강요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이야기하는 것인데 무엇이 잘못됐는지 모르겠다", "수업을 하지 않는 시간과 그외 장소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우선시 해야한다" 등의 의견들도 나왔다.

 

다만 대부분의 유명강사들은 전 씨의 행보에 비판적인 입장을 내놓고 있다. 유명 한국사 강사인 강민성 씨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부족하나마 우리 역사를 공부했던 사람으로, 한때나마 같은 업체에 근무했던 사람으로, 저 스스로가 부끄럽고 자괴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유명 영어강사 조정식씨도 페이스북을 통해 "나는 특정 의견을 피력하고 논의하는 게 아니라, 내가 가진 지식과 경험을 수험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강단에 선다"며 "학생들은 비판적 논의가 아닌 내가 하는 말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해 교실에 들어온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10대 후반~20대 초반의 학생들은 자신이 인정하는 상대의 말을 쉽게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들에게 강사가 정치적 견해를 주입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유명 강사의 정치적 발언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분의 생각은 무엇인가요?

 

찬성 :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것은 자유다
반대 : 정치적 견해를 밝히는 것은 부적절하다
중립 : 기타의견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