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고라] ‘고교 내신 5등급 상대평가’를 두고 격화되는 찬반논쟁

찬성 25.00%

반대 75.00%

토론기간 : 2023.11.21 ~ 2023.12.18

 

[위고라] ‘고교 내신 5등급 상대평가’를 두고 격화되는 찬반논쟁 (출처=국민희망교육연대(좌)/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교육부가 지난달 내놓은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 대한 국민 의견을 듣기 위해 개최된 공청회에서 고교 전 학년 내신 5등급 상대평가로 바꾸는 내용을 두고 격론이 오갔습니다.

 

교육부는 지난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시안 공청회를 열었습니다. 앞서 교육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선택과목 폐지’, ‘수능 심화수학 영역 신설 검토, ‘고교 내신 상대평가 5등급 시행 등의 내용을 담은 2028 대입개편 시안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날 공청회를 통해 대입개편안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이날 공청회에는 대학 교수와 고교 교사, 학부모 등이 참석해 2028 대입제도 개편 시안에 대한 의견을 밝혔습니다. 특히 고교 내신 상대평가 5등급 시행을 두고 의견이 크게 엇갈렸습니다.

 

상대평가를 찬성하는 측에서는 절대평가가 성적 부풀리기 문제와 교사들의 평가 부담 증가 등을 야기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강태훈 성신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부가 제시한 내신 산출 방안(5등급 상대평가제)은 상대평가의 단점을 최소화하면서 완전한 성취평가(절대평가)를 대비하는 과도기적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강 교수는 이어 소인수과목에서의 1등급 산출을 용이하게 해 경쟁 완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1학년 성적만 과도하게 중시되는 현상, 교사의 평가 부담 증가, 성적 부풀리기, 특정 고교 유형 학생들이 유리해질 것이라는 우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상대평가가 고교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해 필요한 수업을 수강하는 고교학점제의 취지와 맞지 않다는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주종한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정책2팀장은 수능 주요 과목은 9등급, 내신은 5등급으로 상대평가 한 줄 세우기가 유지되면 그에 따라 교실 수업이 단순 암기와 문제풀이에 매몰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주 팀장은 고교학점제하에서 상대평가가 시행되면 각 과목별로 유불리 편차가 심해질 수 밖에 없다수강 인원이 적어질수록 좋은 등급을 받기 어려워지고,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몰리는 과목은 수강신청을 기피하면서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보다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으로 쏠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고교 내신 5등급 상대평가를 두고 찬반논쟁이 가열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정부가 공언한 대로 올해 안에 2028 대입개편안을 확정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찬성: 상대평가를 통해 성적 부풀리기 문제와 교원들의 평가 부담 증가를 막아야 한다

반대: 상대평가는 고교학점제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중립: 기타 중립적 의견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