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고라] 2028학년도 수능에 ‘심화수학’ 도입 필요한가?

찬성 36.36%

반대 63.64%

토론기간 : 2023.10.30 ~ 2023.11.22

 

[위고라] 2028학년도 수능에 ‘심화수학’ 도입 필요한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교육부가 지난 10‘2028 대입제도 개편 시안’(대입 개편 시안)을 발표한 가운데,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심화수학을 도입할 지를 두고 논쟁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앞서 교육부는 2028학년도 수능부터 기존의 국어∙수학∙사회, 과학탐구, 직업탐구 영역 선택과목을 폐지하고 공통과목 체제로 전환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선택과목 폐지를 통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문제를 없애고 수험생들의 학업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다만, 첨단 분야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고려해 미적분와 기하를 절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하는 이른바 심화수학영역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수학계에서는 2028 수능 개편안에 심화수학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며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대한수학회는 심화수학의 신설 여부는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미적분Ⅱ와 기하가 수능 과목에서 제외된다면 현 정부에서 강조하는 과학∙기술 혁신 정책에 역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국가경쟁력 약화에 직결되는 재앙적인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미적분Ⅱ와 기하를 수능 수학 과목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에 단호하게 반대한다“2028학년도 수능에서 이과 계열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미적분Ⅱ와 기하를 모두 선택하도록 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습니다.

 

2028학년도 수능에서 미적분Ⅱ와 기하를 포함하는 심화수학이 제외되면 수학∙과학계와 대학 이공계 등에서 학력 저하가 불가피하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심화수학 신설 시 수험생 학업 부담 증가 및 사교육 폭증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진진협)와 전국진학지도협의회(전진협)수능에 심화수학 신설 검토는 폐지돼야 한다내신에서는 최소한 진로선택∙융합선택 과목은 절대평가로 전환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서울 주요 대학이나 의약학 계열, 이공계열 학과는 심화수학을 선택한 학생이 입시에서 유리한 전형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학생의 학습 부담이 늘어나면서 사교육비도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처럼 2028학년도 수능에서 심화수학영역 신설 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찬성: (2028학년도 수능에) 심화수학을 도입해야 한다

반대: (2028학년도 수능에) 심화수학을 도입해서는 안된다

중립: 기타 의견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