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킬러문항 22개 나와... 2022년 수능부터 7개씩 꾸준히 출제돼
▷ 최근 출제된 480개 문항 검토 결과 킬러문항 22개 발표... 국어 7개, 수학 9개, 영어 6개
▷ 국어에선 '배경지식', 수학은 '수학적 개념 결합', 영어는 '추상하고 복잡한 지문' 등의 문제 거론돼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尹 정부가 향후 수능에서 배제하기로 결정한 ‘킬러 문항’의 사례가 공개되었습니다.
교육당국이 지난 3년간 치러진 수능과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 출제된 480개 문항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검토한 결과, 총 22개의 킬러 문항이 발견되었습니다.
국어 7개, 수학 9개, 영어 6개인데요. 시험의 연도 별로 보면, 2021학년도 수능에서 1개, 2022학년도 수능 7개, 2023학년도 수능 7개,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 7개로 2022학년도 수능부터 공통적으로 7개의 킬러 문항이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승걸 교육부 책임교육정책실장은 “현장 교사 및 전문가들은 킬러 문항을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으로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장으로 판단했다”며, “킬러문항은 공교육 과정 이외의 다른 배경지식을 가진 경우 쉽고
빠르게 풀 수 있거나 의도적인 함정으로 실수를 유발하는 등 문제풀이 기술을 익힌 학생들에게 유리하여 공교육 과정 내에서 성실하게 학습한 학생들에게
좌절감을 주었다”고 언급했는데요.
먼저, 국어의 킬러 문항의 경우 ‘배경지식’의 문제점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사교육을 통해 배경지식을 쌓은 학생들은 비교적 쉽게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반면, 사교육 없이 독해력만으로 풀어야 하는 일반 학생들에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육당국이 예를 든 2022학년도
수능 국어 8번 문제의 경우 헤겔의 ‘변증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정립, 반정립, 수렴적 상향성, 절대정신’ 등
헤겔 철학에서 등장하는 전문용어를 빈번히 사용했고, 문제로서 괴테와 실러의 문학 작품과 기본 논증 방법을
연결해 논리적으로 적절한 답을 추론해내야 하는데요. 교육당국은 “지문에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상당한 고난도 문제”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외에도 ‘심리 철학에서의 동일론과 기능주의, 설(Searle)의 의식에 대한 논의’, ‘조지훈과 오규원의 시에 대한 의미 추론’, ‘클라이버의 기초대사량
측정 공식’, ‘달러화의 기축통화 양상’ 등 어려운 난도의
문항이 포진해 있었습니다.
수학에서의 킬러 문항은 ‘수학적 개념의 복합적인 결합’이었습니다. 여러 개의 수학적 개념이 결합해 복잡한 사고 또는 고차원적인 해결 방식을 요구했는데, 사교육에서 선행학습을 마친 학생의 경우 출제자가 기대한 풀이 방법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 예로 2023학년도 수능 수학 22번 문항은 합성함수, 미분계수, 함수의 평균값 정리 등 다수의 수학적 개념이 결합되어 있어 문제해결 과정이 복잡한데요. 사교육에서 미적분의 ‘변곡점’ 개념과 성질을 숙지했을 경우, 문제해결이 가능해 학생 간 유불리가 나타나는 문제였습니다.
이외에도, 변수의 경우를 나누는 상황이 과도한 함수 문제, 지수함수와 삼각함수/삼각함수의 결합 문제, 대학수학에서 학습하는 ‘테일러 정리’의 활용 문제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고난도의 문제가 킬러 문항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영어 킬러 문항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을 지문으로 담은 문제들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오 실장은 “영어의 경우 일반 문항은 전문적인 내용 또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이어서 영어를 해석하고도 그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가 어려웠다”며, “또한 공교육에서 다루는 일반적인 수준보다 어려운 어휘와 길고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여 해석을 어렵게 하였다”고 분석했는데요.
그 일례로 2023학년도 수능 영어 34번 문항에선 “In the case of climate change, however, the sharp division of time into past, present, and future has been desperately misleading and has, most importantly, hidden view the extent of responsibility of those of us alive now”라는 복잡하고 난해한 문장이 출제된 바 있습니다.
이 문장은 현재와 과거, 미래라는 시간 흐름과 맞물려 기후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주제를 뒷받침하고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법정 용어와 재판 원리를 다룬 지문 등 학생 입장에서 해석도
쉽지 않을뿐더러, 그 이후의 문제 풀이도 고난도인 문항이 영어의 킬러 문항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한편, 교육당국은 이러한 킬러 문항을 향후 수능에서 전면 배제하는 것과 함께 사교육 카르텔과의 전면전을 선포했습니다. 이주호 교육부총리는 “역대 정부를 막론하고 공교육 교과과정 내 수능 출제가 기본 원칙이었으나, 지나치게 전문가와 공급자인 출제당국 입장에서 학생과 부모의 눈높이에 맞추지 못하고 킬러문항이 출제된 것에 대해서 깊은 반성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 반성의 계기로 이러한 킬러문항 출제, 그로 인한 사교육, 학생과 학부모의 과도한 경제 부담이라는 악순환을 확실히 끊어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