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4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학부모·교원 87% "AI 디지털교과서 반대"

▷ 응답자 89% "AIDT 업체 독과점 우려" ▷ 이주호 장관, '532명' 조사 결과 들어 반박

교육 > 교육정책    |   이필립 기자    |   2024.12.19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 사진=위즈경제

[2024국정감사]AIDT 학생구독료, 4년 최대 6조6000억 원

▷국회입법조사처에서 발표한 6개 시나리오 재구성해 추계 ▷강경숙 의원 "천문학적 예산...교육부 국민적 합의 이끌어내야"

교육 > 교육정책    |   류으뜸 기자    |   2024.10.18

웅진씽크빅의 AI 코스웨어 ‘스마트올 AI 학교 수학’이 2024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현장에서 열린 K-에듀테크 콘테스트 시상식에서 교육부장관상(대상)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웅진씽크빅

웅진씽크빅, K-에듀테크 콘테스트 교육부장관상 수상

▷스마트올 AI 학교 수학,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서 수상 ▷원자희 실장 "콘텐츠 더욱 고도화해 완성형 코스웨어 선보일 것"

교육 > 교육산업    |   류으뜸 기자    |   2024.09.26

AI디지털교과서 도입중단 촉구 범국민 서명을 촉구하는 포스터. 사진=AI디지털교과서 중단 공동대책위원회

AI디지털교과서 도입 중단 범국민 서명 돌입…사흘 만에 35,000명 돌파

▷전교조 포함 AI디지털교과서 중단 공동대책위원회, 범국민 서명 운동 돌입 ▷교사, 학생, 학부모, 시민들의 동참 이어져

교육 > 교육정책    |   류으뜸 기자    |   2024.09.10

MOU 기념 촬영에 응하고 있는 원자희 웅진씽크빅 AI 디지털교과서개발실장, 강선현 컴퓨팅교사협회장, 홍지연 더나은내일교육연수소 대표(왼쪽부터). 사진=웅진씽크빅

웅진씽크빅, 미래 교실 에듀테크 활용 사례 발굴 위한 MOU

▷컴퓨팅교사협회·더나은내일교육연구소와 체결 ▷AI 코스웨어 활용 사례 발굴 위해 전적 협력

교육 > 교육정책    |   류으뜸 기자    |   2024.09.10

2024 에듀플러스위크 박람회에서 구진명 매헌초등학교 교사가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웅진씽크빅

웅진씽크빅, 에듀플러스위크서 교사 연수 프로그램 진행

▷AI 디지털교과서 활용할 현직 초등교사 강사로 초빙

교육 > 교육산업    |   류으뜸 기자    |   2024.08.12

23일 국회의원회관 제 9간담회실에서 'AI 디지털교과서 이대로 괜찮은가?'를 주제로 토론회가 개최됐다. 사진=위즈경제

'AI디지털교과서 정책 타당성 검증 세미나' 국회서 개최..."충분한 시간두고 도입해야"

▷23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열려

교육 > 교육정책    |   류으뜸 기자    |   2024.07.23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은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교육부 4대강 사업으로 불리는 AI디지털교과서(이하 AIGT) 관련 교육부 산하기관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KERIS) 정제영 원장의 입장문에 대한 반박 기자회견을 가졌다. 사진=강경숙 의원실 제공

강경숙 의원 "담당 기관장 발언 부적절...국민과 교육주체들에게 사과해야"

▷정재영 KERIS 원장,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글 올려 ▷강 의원, 국회소통관서 이에 대한 반박 기자회견 열어

교육 > 교육정책    |   류으뜸 기자    |   2024.07.22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AI디지털교과서 도입 논란...이대로 괜찮을까?

▷내년부터 수학·영어·국어에 우선 도입 ▷교사·학부모, 인프라 부족 등 우려점 제기

교육 > 교육정책    |   류으뜸 기자    |   2024.07.17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은 지난 26일 국회 소통관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교실혁명 선도교사 연수'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출처=강경숙 의원실

강경숙 의원 "교육계 4대강 사업인 AI디지털 교과서, 재검토해야"

▷강경숙 의원, 교실혁명 선도교사 연수 규탄 기자회견

교육 > 교육일반    |   류으뜸 기자    |   2024.06.27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