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 군사위성 발사 비판 쏟아낸 북한에 “한국은 제재 대상 아냐”
▷미 국무부, 한국 군사위성 발사 두둔 ▷북한, “미국과 적대세력 감시할 수 있는 능력 조성하기 위한 중대한 임무 결행해 나갈 것”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2.05
北, 유엔 안보리서 위성 발사 정당성 주장…"미국 위협에 대한 정당한 자위권"
▷北, "미국은 위성을 쏠 때 투석기로 위성을 날리냐" 비판 ▷韓, "북한은 안보리 결의 위반하는 차원을 넘어 거의 조롱 수준" 강력 반발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1.28
北, 정찰위성 기습 발사 단행…韓美日, “성공 여부 확인 중”
▷북한, 21일 심야 군사정찰위성 기습 발사 강행 ▷조선중앙통신, 3차 정찰위성 발사 성공 주장…한미일, “성공 여부 검증 중”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1.22
두차례 실패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군사정찰위성 발사 단행하는 北
▷北, 오는 22일부터 내달 1일 사이 인공위상 발사 일본에 통보 ▷기시다, “인공위성이라도 탄도미사일 기술 사용하면 유엔 안보리 위반”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1.21
北, 군사 정찰위성 3차 발사 임박 관측에…합참, “강행 시 필요 조치” 경고
▷합참, “북한, 현재 준비 중인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즉각 중단해야” ▷日 방위성, “(북한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정보 수집과 경계 감시에 총력 기울일 것”
사회·정치 > 정치 | 이정원 기자 | 2023.11.20
北, 2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로 마무리...올 10월 재발사 예고
▷24일 北,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 발사 실패 ▷北 “1∙2단 정상 비행, 3단 로켓 시스템 오류로 인해 실패”…올해 10월에 재발사 ▷日. “정부로서 베이징 대사관을 통해 북한에 엄중 경고할 것”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8.24
北, 3개월만에 인공위성 재발사…24~31일 사이 발사 예고
▷北. 지난 5월 발사에 실패한 인공위성 24일부터 이달 31일 사이에 재발사 ▷日, “정보 수집에 만전을 기하고 한미 양국과 연계해 북한에 발사 자제 요구”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8.22
[외신] 북한의 재발사 예고 놓고 의견 분분한 일본… 수일 VS 수년
▷북한의 2차 발사 일정 두고 의견 엇갈리는 일본 ▷일본 전문가들, “조속히 발사에 임할 것” VS “최대 수년이 필요할 수 있다”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6.01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통보에…강력경고 나선 韓日
▷6월 군사정찰위성 발사 예고한 북한 ▷韓,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행위는 명백한 불법” ▷日, “자국 영토에 북한의 발사체나 잔해 추락 시 요격할 것”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5.30
인민군 창건일에 조용한 북한...일본은 '예의주시'
▷인민군 창건 제91주년 맞은 북한…"특이 동향은 없어" ▷일본, "북한 위성 잔해 낙하 시 파괴할 미사일 오키나와에 배치해"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4.25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