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맹국도 피해갈 수 없는 美 관세, "경제에 상당한 악영향"
▷ 캐나다-멕시코 등 관세 부과 이어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압박 ▷ 美, "해외 덤핑 종식, 미국 경제와 국가 안보 강화" ▷ 주요 IB에선 우려의 목소리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5.02.13

中 공급망 압박에, "대응역량 신속히 확충"
▷ 중국 상무부, 텅스텐 등 5개 품목 수출 통제 돌입 ▷ 텅스텐과 몰리브덴 중국 의존도 높아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2.06

한국은행이 전망한 韓 수출
▷ 한국은행, '우리 수출 향방의 주요 동인 점검 및 시사점' ▷ 중국, 흑자대상국에서 경쟁자로 변모 ▷ 미국의 중국 압박은 위기이자 기회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11.29

中 안티모니 수출 통제에... "국내에 미치는 영향 제한적일 것"
▷ 중국, 9월 15일부터 안티모니 수출 통제... 수출허가 절차 추가 ▷ 정부, "수입처 다변화, 비축량 확보로 수출 통제 영향 제한적"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8.16

2월 1일 ~ 20일간 對중국 수출 12.8% ↓
▷ 2월 1일 ~ 2월 20일 수출은 307억 달러, 수입 320억 달러 기록 ▷ 지난해 對중국 무역수지 적자 수교 이후 처음으로 적자 반전 ▷ 한국무역협회, "IT 경기 회복해도 중국을 상대로 무역수지 흑자 거두기 어려울 것"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22

OECD,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2.2% 예측
▷ OECD 경제 전망, 전문기관들의 예측과 대체로 부합 ▷ 올해 경제 성장 둘러싼 불안요인 多... 미국에 비해 유로존의 상황을 부정적으로 평가 ▷ 한국은행, "재정정책, 에너지가격 충격, 교역부진의 요인" 영향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06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장기화되면 '브롬' 수입에 문제
▷ 우리나라와 이스라엘 간 무역 비중 점차 증가 ▷ 대체 어려운 '브롬', 이스라엘 의존도 99% 이상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0.19

"활성탄 비축 늘리겠다"지만... 기술 개발도 중요
▷ 수입 의존도 상당히 높은 '활성탄'... 조달청, "비축량 늘리겠다" ▷ 국내 활성탄 기술 개발은 활성화되지 않은 편 ▷ 지자체나 기관들은 활성탄 '재사용' 방안에 무게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0.17

중국, 이제 내려갈 일만 남았다?... '피크 차이나'론 대두
▷ 최근에 이르러 한계 맞은 중국, 국력이 쇠퇴할 것이라는 '피크 차이나'(Peak China)론 ▷ 인구감소에 높은 해외 자원의존도, 경제적 고립 심화 등이 쇠퇴 이유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9.21

중국 코로나19 봉쇄 풀렸는데... 세계 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
▷ 우리나라 對중 무역 적자 장기화... 반도체 수요 부진 ▷ 한국은행, "중국의 코로나19 '리오프닝' 중국 내수경제엔 도움, 글로벌 경제엔 효과가 아직까지 없어"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4.20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