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급망 압박에, "대응역량 신속히 확충"
▷ 중국 상무부, 텅스텐 등 5개 품목 수출 통제 돌입
▷ 텅스텐과 몰리브덴 중국 의존도 높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해 중국이 원자재 공급망을 옥죄는 가운데, 우리나라 산업통상자원부가 향후 수급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4일, 중국 상무부는 텅스텐, 몰리브덴,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 등 5개 품목의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전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에 주로 사용되는 합금 및 화합물이 25개 제품 및 관련 기술을 대상으로 하며, 이번 수출 통제는 수출 금지가 아닌 수출허가 절차가 추가된 방식이다. 기존 통제 품목인 흑연과 갈륨과 같이 중국 상무부의 수출허가를 받으면 국내 수입이 가능하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공급망 점검회의'를 개최,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했다. 텅스텐은 민간 재고와 공공비축(50일 이상)을 합쳐 6개월 분에 물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텅스텐 스크랩을 재활용해 일부 생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몰리브덴도 마찬가지로 공공 비축을 포함해 3개월 이상의 물량을 보유, 단기 대응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인듐과 비스무트, 텔루륨은 국내 생산으로 부족분을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 2023년 기준, 인듐은 우리나라가 중국에 이어 글로벌 생산량 2위 국가이며, 비스무트는 납 제련의 부산물로 수출량이 수입량을 상회한다. 텔루륨은 캐나다 등 대체 공급원이 존재한다.
문제는 이들 품목의 對중 수입의존도가 상당하다는 점이다. 2024년 수입금액 기준 텅스텐은 수입의존도가 85%, 몰리브덴은 90% 이상에 달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당 품목들의 수급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대체 수입처 발굴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 曰 "수출통제품목의 수급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품목별로 밀착 관리하는 한편, 자립화 및 다변화, 자원확보 등 공급망 안정화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 중장기적 대응역량도 신속히 확충해 나가겠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2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3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4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5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
6장애특성과정도를 무시하고 시설을 폐쇄하려는 전체주의적발상으로 보호와 돌봄을 포기하고 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법안으로 폐기해야합니다
7장애인의 다양성을 배제한 자립지원법은 폐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