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22

대한유화 CI.사진=대한유화

[증시다트] 대한유화, 구조조정 수혜 속 반등하나...4년만 흑자전환 전망

▷글로벌 구조조정 본격화로 석유화학 업황 개선 기대 ▷산업용 가스·LNG 발전소 수익 기여 확대…재무건전성도 압도적 ▷고부가 분리막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경쟁력 재조명

기획·연재 > 증시다트    |   류으뜸 기자    |   2025.08.27

지난 4월 한컴라이프케어에서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진압 현장에 호흡 보호 장비에 대한 정비 및 점검을 지원했다. (사진 = 연합뉴스)

보조배터리부터 ESS까지, 한컴라이프케어 차세대 화재 대응 생태계 구축

▷ GEVR과 업무협약, 전기차 화재 대응 기술 고도화 ▷ 한컴라이프케어 노하우 담긴 화재 예방 장치 개발 추진

산업 > 기업    |   전희수 기자    |   2025.08.21

(사진=아우토크립트)

아우토크립트, 獨 뮌헨에서 보안 규제 대응 최적화 사이버보안 솔루션 선보여

▷아우토크립트, 독일 뮌헨 오토메디카 2025 박람회 참가 ▷”CRA 등 규제에 선제적 대응해 글로벌 수출 경쟁력 확보”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6.30

(사진=위즈경제)

산업부, 獨 하노버에서 개최된 ‘유레카 서밋’ 참석

▷산업부, ‘유레카 글로벌이노베이션서밋 행사’ 참석 ▷독일, 스위스 등과 첨단기술 협력 파트너쉽 공고히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5.04.02

31일 국회 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진행한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 세미나 (출처=위즈경제)

[현장스케치] 글로벌 AI 관리 위해 민관 대응 방안 논의

기획·연재 > 현장스케치    |   이정원 기자    |   2024.10.31

31일 국회 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진행된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 세미나(출처=위즈경제)

AI 산업과 공존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모색 논의의 장 열려

▷31일,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 세미나 개최 ▷'급진전하는 AI 산업, 공존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가능한가' 주제로 민관 전문가 논의의 장 마련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10.31

(출처=클립아트코리아)

팽창하는 中 산업용 로봇 시장…국내 기업 진출 전략은?

▷중국 내 산업용 로봇 수요 빠르게 증가…전세계 산업용 로봇 52.4%가 중국에 ▷국내 기업, 국내 기업, 신기술 분야 강점 살려야 틈새시장 노려야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9.24

(출처=LG 홈페이지)

LG전자, 美 최대 물류 전시회서 통합물류ㆍ스마트팩토리 위한 AI 로봇 대거 공개

▶LG전자, 북미 최대 규모의 물류 전시회 '모덱스 2024' 참가 ▶모덱스에서 통합물류 서비스와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산업용 로봇 라인업 대거 선보여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4.03.15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요소수, '국가전략물자' 지정해야"... 국내 생산 필요성 제기

▷ 차량용 요소수, 중국 의존도 88%... 국내 생산은 2011년이 마지막 ▷ 정부,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로부터 요소수 수입하면 물류비 지원 ▷ 국회입법조사처, "민간이 요소수 생산을 포기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치유해야 한다"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3.07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지난해 생산 0.7% 증가... 소비와 투자는 부진

▷ 통계청, '2023년 연간산업활동동향' ▷ 전산업생산 0.7% ↑, 소비는 1.4% ↓, 설비투자 5.5% ↓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1.31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