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팽창하는 中 산업용 로봇 시장…국내 기업 진출 전략은?

▷중국 내 산업용 로봇 수요 빠르게 증가…전세계 산업용 로봇 52.4%가 중국에
▷국내 기업, 국내 기업, 신기술 분야 강점 살려야 틈새시장 노려야

입력 : 2024.09.24 15:30 수정 : 2024.09.24 15:37
팽창하는 中 산업용 로봇 시장…국내 기업 진출 전략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중국 내에서 산업용 로봇 수요가 빠르게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은 고정밀·초소형 핵심부품 등 신기술 분야의 강점을 살려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현황보고서를 발간하고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간인 스태티스타(Statista)의 조사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에서 생산된 산업용 로봇은 2020 24만대를 기록하면서 20만대를 넘어섰고, 2021 36만대, 2022년에는 44만 대에 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2022년 기준 중국 내 설치된 산업용 로봇은 29만대로 전세계에 설치된 산업용 로봇의 5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설치된 산업용 로봇은 총 26만대로 집계됐으며, 국가별로는 일본 5만대, 미국 4만대, 한국 32000, 독일 26000대 등으로 조사됐다.

 

, 중국에서 판매된 산업용 로봇 중 중국브랜드가 절반을 차지하며, 외국브랜드 판매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신흥산업 연구기관인 GGII에 따르면 2023년 중국에서 판매된 산업용 로봇 가운데 52.5%가 중국브랜드로 외국브랜드 판매량인 47.5%를 넘어섰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중국에서 산업용 로봇이 가장 많이 판매된 산업분야는 전기·전자, 자동차 부품, 금속제조 등이었다.

 

구체적으로 전기·전자 산업용 로봇은 전체 산업용 로봇 판매량의 18.7%를 차지했으며, 자동차 부품 및 금속제조(14.7%), 금속제조 산업용 로봇(11.7%)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중국 공업데이터분석기관 MIR DATABANK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태양광 산업용 로봇 출하량이 전년대비 90.0%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중국 산업용 로봇 총 출하량을 끌어올렸다.

 

같은 기간, 자동차·IT와 반도체 산업용 로봇 출하량은 각각 전년대비 17.4%, 15.3% 증가했으며, 의료·화학제조·물류·식품음료·자동차 부품 산업용 로봇 출하량은 모두 10% 미만에 그쳤다.

 

보고서는 중국 내수 시장에서 산업용 로봇 수요가 커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우리 기업도 관련 분야를 집중 공략해 진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이를 위해 우리기업은 AI스마트센서, 정밀센서 등 고정밀·초소형 핵심부품 등 신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중국의 공장 자동화가 늘면서 컴퓨터 비전, 머신러닝 등 AI 기술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어 AI 기업도 산업 솔루션 플랫폼 기업과 협력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정부는 AI, 로봇 등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학술연구와 인재 양성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지난 20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열린 69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시상식에서 대한민국은 지금,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대전환기에 있다라며 세계적인 복합위기에 대응하면서 AI, 로봇 등 혁명적인 첨단기술이 가져오는 도전의 시대를 국가 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무엇보다 중요한 국가적 과제는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창의적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다라며 이에 정부는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출범하고 대학의 연구 기반을 튼튼하게 구축하고 학문의 균형발전을 지원하며, 미래의 핵심 연구자를 양성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2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3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4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5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

6

유아특수교사 자격 취득과정이 없어진 것도 아니고 갈 수 있는 길이 명백히 있는데 왜 자꾸 ‘준하는’ 교육으로 자격을 날로 먹으려 하죠? 충분한 현장경험과 경력이요? 그건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경력이구요, 유아특수교사 경력으로는 인정해주지 않습니다. 다르니까요. 차별이 아니라 차이입니다. 애초에 자격 양성 과정부터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것에서 오는 수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게 큰 문제입니다. 왜 별 문제 없는 것처럼 말하세요? 교사의 수준 하락, 유아들의 교육의 질 하락 등등 모든 것이 다 문제인데 ‘왜 같은 직업인데 우리만 차별해ㅠㅠ 우리만 안 해줘 ㅠㅠ’ 하고 애처럼 우기지 마세요. 달라서 문제입니다. 준하는 교육이 아닌 동일한 교육을 받으세요. 길은 충분히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