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창하는 中 산업용 로봇 시장…국내 기업 진출 전략은?
▷중국 내 산업용 로봇 수요 빠르게 증가…전세계 산업용 로봇 52.4%가 중국에
▷국내 기업, 국내 기업, 신기술 분야 강점 살려야 틈새시장 노려야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중국 내에서 산업용 로봇 수요가 빠르게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은 고정밀·초소형 핵심부품 등 신기술 분야의 강점을 살려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현황’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간인 스태티스타(Statista)의 조사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에서 생산된 산업용 로봇은 2020년 24만대를
기록하면서 20만대를 넘어섰고, 2021년 36만대, 2022년에는 44만
대에 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2022년 기준 중국 내 설치된 산업용 로봇은 29만대로 전세계에 설치된 산업용 로봇의 5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설치된 산업용 로봇은 총 26만대로
집계됐으며, 국가별로는 일본 5만대, 미국 4만대, 한국 3만2000대, 독일 2만6000대 등으로 조사됐다.
또, 중국에서 판매된 산업용 로봇 중 중국브랜드가 절반을 차지하며, 외국브랜드 판매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신흥산업 연구기관인 GGII에 따르면 2023년 중국에서 판매된 산업용 로봇 가운데 52.5%가 중국브랜드로
외국브랜드 판매량인 47.5%를 넘어섰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중국에서 산업용 로봇이 가장 많이 판매된 산업분야는 전기·전자, 자동차 부품, 금속제조 등이었다.
구체적으로 전기·전자 산업용 로봇은 전체 산업용 로봇 판매량의 18.7%를
차지했으며, 자동차 부품 및 금속제조(14.7%), 금속제조
산업용 로봇(11.7%)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중국 공업데이터분석기관 MIR DATABANK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태양광 산업용 로봇 출하량이 전년대비 90.0%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중국 산업용 로봇 총 출하량을 끌어올렸다.
같은 기간, 자동차·IT와
반도체 산업용 로봇 출하량은 각각 전년대비 17.4%, 15.3% 증가했으며, 의료·화학제조·물류·식품음료·자동차 부품 산업용 로봇 출하량은 모두 10% 미만에
그쳤다.
보고서는 중국 내수 시장에서 산업용 로봇 수요가 커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우리 기업도 관련 분야를 집중 공략해
진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이를 위해 우리기업은 AI스마트센서,
정밀센서 등 고정밀·초소형 핵심부품 등 신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중국의 공장 자동화가 늘면서 컴퓨터 비전, 머신러닝 등 AI 기술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어 AI 기업도 산업 솔루션 플랫폼
기업과 협력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정부는 AI, 로봇
등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학술연구와 인재 양성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지난 20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열린 69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시상식에서 “대한민국은 지금,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대전환기에 있다”라며 “세계적인 복합위기에 대응하면서 AI, 로봇 등 혁명적인 첨단기술이
가져오는 도전의 시대를 국가 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무엇보다 중요한 국가적 과제는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창의적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다”라며 “이에 정부는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출범하고 대학의 연구 기반을 튼튼하게 구축하고 학문의 균형발전을 지원하며, 미래의 핵심 연구자를 양성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