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산업과 공존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모색 논의의 장 열려
▷31일,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 세미나 개최
▷'급진전하는 AI 산업, 공존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가능한가' 주제로 민관 전문가 논의의 장 마련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31일 국회 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급진전하는 AI 산업, 공존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는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 세미나가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과 한무경 산업용합촉진 옴부즈만이 공동 주최했으며, AI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대두되고 있는 글로벌 AI 관리의
시급성에 대해 민·관이 미래 대응전략 및 글로벌 규제 거버넌스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 주제발표를 맡은 제롬 글렌(Jerome Glenn) 밀레니엄 프로젝트 회장은
‘AI 산업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투피 살리바(Toufi Saliba) IEEE 글로벌AI표준위원회 위원장은 ‘AI 관리를 위한 글로벌 표준’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박외진 아크릴 대표,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 정주환 네이버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 서희 핀다 CTO, 이예하 뷰노 대표 등의 발표가 이어졌다.
박외진 아크릴 대표는 AI 산업에 있어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기술적 완성도와 성숙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고민 역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하는 AI 지수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거버넌스 점수는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도 높은 편이다. 하지만, 기술에 대한 점수가 낮다”라며 “이에 현재 대한민국 현실에서 중요한
것이 거버넌스냐 아니면 기술의 완성도와 성숙도를 이끌어내는 것이 더 중요한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어 “현재 대한민국의 AI 기업들은 사회적인 기대는 많지만, 그에 걸맞는 산업적 가치가
환류되지 않고 있어 굉장히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서 “리얼 밸류를 창출하는 산업계의 건강성부터 회복하기 위한 거버넌스에 더 집중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는 현 AI 산업은 태동기에 접어든 상태이며, 실질적 사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강 대표는 “현재 AI 는
산업적인 관점에서 놓고 봤을 때 마치 본 게임이 들어가기 전인 것 같다”면서 “지금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기술 쪽을 지원해왔지만,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산업자원부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