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이상은 반려동물 양육경험자…반려동물 산업 성장성 주목
▶트렌드모니터, 국민 10명 중 6명 “반려동물 양육 경험 있어” ▶펫팸족 증가에 따라 반려동물 산업 성장 가능성 높아져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7.17
한국반려동물산업연합회, 창립총회 열고 출범…”반려동물산업 활성화 위한 제도 마련 필요”
▶한국반려동물산업연합회, 창립총회 개최 ▶”반려동물산업 육성과 지원 관한 법률 제정 위한 활동 나설 것”
종합 > 동물 | 이정원 기자 | 2024.05.28
[심층토론 #3] 루시법 둘러싼 첨예한 갈등…해법은 없을까?
▶강압적인 강요보다는 유의미한 합의점 도출을 위한 동물보호단체와 반려동물산업계 간 논의 필요 ▶동물보호단체와 반려동물산업계 간 대립 아닌 양측의 발전을 위한 자정 노력 필요
기획·연재 > 기획특집 | 이정원 기자 | 2024.03.22
[심층토론 #2] 논란의 중심에 선 루시법, 전문가들의 의견을 묻다
▷ 위즈경제, '동물보호와 펫산업쇠퇴... 갈림길에 놓인 루시법' 토론회 개최 ▷ 이경구 한국반려동물협회 사무국장, 김영환 케어 대표 등 반려동물산업계 및 동물보호단체 관계자·전문가 4명 참여 ▷ 루시법 도입으로 인해 예측되는 동물권과 펫산업계에 변화점 논의
기획·연재 > 기획특집 | 김영진 기자 | 2024.03.21
[심층토론 #1] 대한민국의 동물권과 반려동물산업계의 현주소, 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위즈경제, ‘동물보호와 펫산업쇠퇴…갈림길에 놓인 루시법’ 토론회 개최 ▶이경구 한국반려동물협회 사무국장, 김영환 케어 대표 등 반려동물산업계 및 동물보호단체 관계자 및 전문가 4명 참여 ▶동물권과 펫산업계의 현주소에 대한 논의 진행
기획·연재 > 기획특집 | 이정원 기자 | 2024.03.20
위즈경제, '한국판 루시법' 토론회 개최
▷ 14일 오후 2시 20분부터 진행... 유튜브로 시청 가능 ▷ 강영식 연암대학교 겸임교수, 김영환 케어 대표, 이경구 한국반려동물협회 사무국장, 이진홍 건국대 주임교수 참석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3.14
한국반려동물산업연합회, '루시와 함께하는 산업포럼' 개최
▶한국반려동물산업연합회, '루시와 함께하는 산업포럼' 12일 개최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3.12
[폴플러스] 참여자 76.8%, 루시법 도입에 반대..."현장의 실정과 동떨어진 정책"
POLL > Poll Plus | 이정원 기자 | 2024.03.06
[인터뷰] 이경구 반려동물협회 사무국장 “루시법이 반려동물산업계에 미칠 피해는 말할 수 없는 수준일 것”
▷이경구 반려동물협회 사무국장 인터뷰
인터뷰 > 인터뷰 | 이정원 기자 | 2024.02.07
[위포트] "루시법은 반려동물 산업 현장을 고려하지 않았다"...참여자 10명 중 8명 반대
위고라 > Weport | 이정원 기자 | 2024.02.01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