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익명 대화방) 참여자들의 개인정보를 추출해 고가에 판매한다는 광고글이 온라인 사이트에 게재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티에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의
참여자 실명과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추출해준다’는 홍보글이 게시됐습니다.
해당 업체는 광고 글에서 “어떤 오픈방에서도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면서 “실명∙전화번호∙오픈채팅방 전부 데이터 전환이 되며 광고계정∙유령계정∙해외번호 모조리 거르고
추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업체는 오픈 채팅방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숫자로 된 유저 아이디를 추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대해 카카오는 “시스템 구조상 개인정보 유출이 불가능하다”면서 “해당 어뷰징(부당
사용) 행위를 인지한 직후 해당 채팅방 및 어뷰저에 대한 조치를 진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해당 업체의 행위는 약관 및 법적으로 금지된 행위이며, 해당 업체에 대한 제재를 진행함과 동시에 수사기관 신고 등을 포함해 강경 대응할 예정”이라 덧붙였습니다.
카톡 오픈채팅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도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의 취약점과 그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바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박용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침해사고대응단장은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에 착수했다”면서 “분석을 통해 취약점이 확인되면 다시 해킹을 재연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조사 과정이 복잡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전체 과정에서 실제로 개인정보 추출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면
침해사건으로 전환된다”면서 “지금은 아무것도 단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카오와 조사 관련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