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R테크기업 인크루트는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2025년 기준 직장 동료의 적정 결혼 축의금이 얼마인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지난 26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25년 1인
기준 결혼식에 참석하여 식사까지 한다는 가정 하에 직장 동료 결혼식의 적정 축의금을 얼마라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10만 원이 6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5만 원’ 32.8%, ‘5만
원 미만’ 3.2%, ‘15만 원’ 1.4% 등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직장 동료와의 관계에 따라 결혼식 축의금에 차이가 있을지를 묻는 질문에는 관계에 상관없이 10만 원이 적정 금액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관계와 상관없이 10만
원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과 달리 이어지는 응답에서는 관계 유형에 따라 축의금 금액에 차이를 두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는 △20만 원(14.3%) △15만 원(12.7%) △5만
원(9.4%) 순으로 나타났으며, ‘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 있는 동료’는 △5만 원(30.0%) △5만 원 미만(3.8%) △15만 원(3.3%)로 분석됐다.
특히, 2023년 조사에서는 ‘같은
팀이지만 덜 친하고 협업할 때만 마주하는 직장 동료’의 적정 축의금으로 5만 원(65.1%)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이번 조사에서는 적정 축의금이 10만원(60.1%)으로 전년 대비 5만 원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가 상승 등의 영향이 축의금
문화에도 영향을 미친 결과로 풀이된다.
직장 동료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범위는 ‘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
있는 동료’ 44.4%로 1위를 차지했으며,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 28.2%, ‘사적으로 친한 동료’ 25.9%, ‘직장 동료 결혼식에는 참석하지 않겠다’ 1.4%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 동료의 결혼식에 불참하겠다고 밝힌 응답자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직장
동료는 결혼식까지 참석할 사이가 아니라고 생각해서’가 33.3%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25.0%)
△축의금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커서(16.7%) △주변 동료들이 결혼식에 참석하는
분위기가 아니어서(16.7%) △이직이나 퇴사로 앞으론 못 볼 거 같아서(8.3%)가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 참석 범위는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에 대한 응답률은 20대가 가장 높았으며, ‘사적으로 친한 동료’는 30대가
가장 높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5월 20일부터 22일까지 시행됐으며, 신뢰 수준
95%에 표본오차 ±3.16%p이다.
댓글 1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저도 창원 출신인데 정말 공감되는 글이네요 ㅠㅠ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7자립이 불가능한 장애인을 자립하라고 시설을 없애는것은 중증발달장애인에 대한 폭거입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해 따뜻한 시선으로 기사써주시는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