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GS25가 국내 4대 편의점 프랜차이즈 가운데 종합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세븐일레븐, 씨유(CU), 이마트24, GS25 등 국내 4대 편의점 프랜차이즈의 소비자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조사한 결과를 3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최근 6개월 이내 편의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6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됐으며, 조사대상 편의점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76점(5점 만점)이었습니다.
업체별로는 GS25가 3.8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3년 전 조사 결과(3.54점)와 비교했을 때 0.22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씨유' 3.79점, '이마트24' 3.75점, 세븐일레븐 3.61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3년 전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제품이나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서비스 상품 만족도(3.67점->4.01점)'가 가장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편의점의 환경이나 고객 대응 등을 평가하는 '서비스 품질'과 편의점 이용과정 중에 느낀 감정을 평가하는 '서비스 체험'에 대한 만족도의 개선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조사대상 소비자는 편의점에서 1회 평균 1만71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3년 전 조사 결과(8734원)보다 22.6%(1976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편의점에서 택배, ATM 등과 같은 생활편의서비스 이용도 3년 전 조사 결과(41.6%) 보다 늘어난 62.1%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가 가장 많이 경험한 불만·피해는 '원하는 상품의 재고 부족'이 52.5%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직원 불친절(37.6%)', '결제오류(24.1%)' 순이었습니다.
한편 편의점 앱 설치자 수는 1256만명으로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 5120만명 중 25%가 편의점 앱을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편의점 앱 설치자 수는 2020년 5월 434만명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해 올해 5월 1256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5월 기준 편의점 앱 중 사용자가 가장 많은 앱은 우리동네GS가 389만명이었으며, 포켓CU 185만명, 세븐일레븐 28만명, 이마트24가 21만명이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