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푸바오가 중국으로 간지 3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푸바오 할부지' 강철원 주키퍼의 목소리에 반응하는 모습을 보여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푸바오 할부지' 에버랜드 강철원 주키퍼(사육사)가 3개월 만에 푸바오를 다시 만났습니다.
에버랜드는 강철원 주키퍼가 어제와 오늘 양일간, 중국 워룽 선수핑 판다기지에서 푸바오를 만나며 감동적인 재회의 시간을 가졌다고 5일 밝혔습니다.
강철원 주키퍼는 푸바오가 생활하고 있는 방사장을 둘러보고, 푸바오 이름을 불러보며 교감하는 등 푸바오와 소중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번 만남은 푸바오가 올해 4월 3일 중국 쓰촨성에 위치한 워룽 선수핑 판다기지로 이동한 지 3개월 만에 이뤄졌습니다.
중국에서 약 2개월 간 검역과 적응 과정을 마친 푸바오는 지난 6월 12일부터 야외 방사장에 공개돼 일반 관람객들과 만남을 시작하면서 강철원 주키퍼와 재회에 대한 관심도 커졌습니다.
앞서 강철원 주키퍼는 지난 4월 푸바오 중국 이동 당시, 공항부터 판다기지까지 모든 과정을 동행했지만,모친상으로 인해 당초 일정보다 조기 귀국해 푸바오가 일반에 공개되면 꼭 다시 보러 오겠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푸바오를 만난 강 주키퍼는 "푸바오가 사는 곳을 직접 보니 주변환경이 너무 좋고, 현지 사육사들이 푸바오를 위해 정말 많이 노력한 모습들을 볼 수 있어서 마음이 놓인다"라며 "앞으로 기회가 있을 때마다 푸바오를 만나러 오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푸바오는 강 주키퍼가 부르는 목소리에 반응하고, 가까이 다가오는 등 강 주키퍼를 알아보는 듯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푸바오와 강 주키퍼의 만남 소식에 누리꾼들은 "역시 할부지 목소리를 잊지 않았어", "일하는데 눈물이 글썽인다", "할부지랑 행복한 시간 보내 뚠빵아" 등 성원이 이어졌습니다.
일부 누리꾼들은 강 주키퍼가 사육장으로 들어가 푸바오와 만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