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비자심리지수 0.5% 올랐지만... 소비자, "공공요금 인상 많이 의식돼"
▷ 1월 소비자심리지수 90.7, 전월보다 나아져
▷ '취업기회전망', '향후경기전망' 등의 지표는 감소
▷ 국내 소비자 10명 중 7명이 '공공요금'을 물가 인상의 원인으로 꼽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국은행이 지난 26일에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2023년 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0.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월보다 0.5p 상승한 수치로, 지난 12월부터 두 달 연속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다만, 종합적인 소비자심리지수를 하나하나 뜯어서 살펴보면, 그리 긍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지표
중 ‘가계수입전망’과 ‘소비지출전망’을 제외한 대부분이 오히려 떨어지거나 보합세를 보였기 때문인데요.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 생활 형편이 어떠한가 묻는 ‘현재생활형편’은 전월대비 1p 하락했으며, 6개월 후의 경기를 전망하는 ‘향후경기전망’ 역시 2p 감소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취업기회전망’(-4p), ‘현재가계저축(-1p)’ 등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수치가 하락한 지표들 중 ‘금리수준전망’은 눈여겨 볼만 합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4월부터 7번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 기준금리가 정점에 이르렀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하나은행 등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1월 초부터 인하하는가 하면, 우리나라 금리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가 이르면 다음달부터 기준금리 인상의 속도를 늦출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상황이 비교적 안정을 되찾았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1월 물가수준전망 지표 역시 151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효과를 보인 가운데, 금리 인상의 기조가 이어지면 경제가 더욱 더 둔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 소비자의 2023년 기대 인플레이션
“올 한 해 물가가 3~4% 오를
것이다!”가 18.9%(전월대비 0.6% 하락)로 가장 많으며,
“올 한 해 물가가 하락할 것이다!”가 2.1%(전월대비 0.3% 하락)으로 가장 적다
물가를 6% 이상 오를 것이라 본 소비자가 12.0%로, 전월대비 0.2% 떨어졌다
‘가계수입전망’은 2023년 1월 96p로
전월대비 1p 상승하면서 긍정적인 추세를 보였으나, 동시에
‘소비지출전망’(+2p), ‘현재가계부채’(+1p), ‘가계부채전망’(+2p)도 오름세를 탔습니다. 가계 수입이 조금 늘어도 지출과 부채의 부담은 여전하다는 뜻입니다.
2023년 첫 달의 소비자심리지수는 나름 보합세를 보였지만, 향후엔 그리 넉넉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전세계적인 경제난으로 인해 전기세와 가스요금, 수도세를 줄줄이 인상한 바 있는데, 이 추세가 올해에도 마찬가지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국내 소비자들은 공공요금 인상을 크게 의식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 ‘공공요금’(75.9%)을 가장 많이 꼽았는데, 이는 지난달보다 8.6% 증가한 수치입니다.
정부가 성난 여론에 놀라 사회적 취약계층에 가스비 할인을 제공하고 에너지 바우처를 확대하겠다 등의 정책을 내놓았으나, 전기세와 가스비, 수도요금뿐만 아니라 버스와 지하철을 비롯한 대중교통
요금 인상도 예정되어 있어 공공요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담을 완화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댓글 1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