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월 소비자심리지수 0.5% 올랐지만... 소비자, "공공요금 인상 많이 의식돼"

▷ 1월 소비자심리지수 90.7, 전월보다 나아져
▷ '취업기회전망', '향후경기전망' 등의 지표는 감소
▷ 국내 소비자 10명 중 7명이 '공공요금'을 물가 인상의 원인으로 꼽아

입력 : 2023.01.27 10:57 수정 : 2023.01.27 10:58
1월 소비자심리지수 0.5% 올랐지만... 소비자, "공공요금 인상 많이 의식돼"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국은행이 지난 26일에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2023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0.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월보다 0.5p 상승한 수치로, 지난 12월부터 두 달 연속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다만, 종합적인 소비자심리지수를 하나하나 뜯어서 살펴보면, 그리 긍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지표 중 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을 제외한 대부분이 오히려 떨어지거나 보합세를 보였기 때문인데요.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 생활 형편이 어떠한가 묻는 현재생활형편은 전월대비 1p 하락했으며, 6개월 후의 경기를 전망하는 향후경기전망역시 2p 감소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취업기회전망’(-4p), ‘현재가계저축(-1p)’ 등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수치가 하락한 지표들 중 금리수준전망은 눈여겨 볼만 합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4월부터 7번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 기준금리가 정점에 이르렀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하나은행 등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1월 초부터 인하하는가 하면, 우리나라 금리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가 이르면 다음달부터 기준금리 인상의 속도를 늦출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상황이 비교적 안정을 되찾았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1월 물가수준전망 지표 역시 151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효과를 보인 가운데, 금리 인상의 기조가 이어지면 경제가 더욱 더 둔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 소비자의 2023년 기대 인플레이션

올 한 해 물가가 3~4% 오를 것이다!”18.9%(전월대비 0.6% 하락)로 가장 많으며,

올 한 해 물가가 하락할 것이다!”2.1%(전월대비 0.3% 하락)으로 가장 적다

물가를 6% 이상 오를 것이라 본 소비자가 12.0%, 전월대비 0.2% 떨어졌다

 

가계수입전망2023196p로 전월대비 1p 상승하면서 긍정적인 추세를 보였으나, 동시에 소비지출전망’(+2p), ‘현재가계부채’(+1p), ‘가계부채전망’(+2p)도 오름세를 탔습니다. 가계 수입이 조금 늘어도 지출과 부채의 부담은 여전하다는 뜻입니다.

 

2023년 첫 달의 소비자심리지수는 나름 보합세를 보였지만, 향후엔 그리 넉넉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전세계적인 경제난으로 인해 전기세와 가스요금, 수도세를 줄줄이 인상한 바 있는데, 이 추세가 올해에도 마찬가지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한국은행)

 

 

현재 국내 소비자들은 공공요금 인상을 크게 의식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 공공요금’(75.9%)을 가장 많이 꼽았는데, 이는 지난달보다 8.6% 증가한 수치입니다.

 

정부가 성난 여론에 놀라 사회적 취약계층에 가스비 할인을 제공하고 에너지 바우처를 확대하겠다 등의 정책을 내놓았으나, 전기세와 가스비, 수도요금뿐만 아니라 버스와 지하철을 비롯한 대중교통 요금 인상도 예정되어 있어 공공요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담을 완화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1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